(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12·16 대책 이후 9억원 이하 아파트로의 거래 쏠림이 심화한 가운데 이러한 풍선효과가 본격화할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16일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계약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중 9억원 이하 비중은 지난달 78.0%였으나 이달에는 87.8%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9억원 초과 15억원 이하 아파트와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줄었다.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가 늘며 전체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은 3.3㎡당 3천189만원에서 1천757만원으로 반토막났다.





직방에 따르면 강남4구의 호당 평균 실거래가격은 15억5천만원으로, 9억원 이하 아파트는 대체로 비강남, 비규제지역에서 거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밝힌대로 정부는 강남 집값을 안정시키겠다는 목표로 정책을 짜고 있지만 비강남권의 풍선 효과를 유심히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대출이 전면 금지되는 15억원 언저리에 가격이 형성된 아파트의 경우 집주인들이 가격 키맞추기를 하며 호가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 강북은 교통, 주거환경이 나빴지만 인프라 확충 등으로 정주 여건이 개선되고 있고 정비사업을 통해 신축 대단지도 많이 생겨 주변 집값을 끌어올리는 단지가 존재하므로 강북의 시장 영향을 간과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계속된 풍선효과로 정부가 9억원 이하 주택에 대한 추가 규제를 내놓을 경우 돈줄을 확실히 막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원리금 분할 상환 확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면서 "무리한 정책 도입으로 주택시장이 침체해서도 안 되기 때문에 가계부채, 부동산PF 등에 대한 구조조정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장기적으로 중저가 아파트의 나 홀로 상승이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9억원 이하 아파트값도 고가주택 못지않게 가격이 많이 올랐고 시장을 이끄는 주도 아파트가 아닐 가능성이 큰 데다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부동산값은 자본의 힘이 결정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선도아파트 가격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봤다.

hj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