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금융당국이 '섭테크(Supervisory Technology)'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섭테크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등 관련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시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9일 '금융환경 변화에 따 섭테크 활용 확대를 위한 과제'에서 "금융규제 환경이 복잡해지고 있어 감독당국은 섭테크 활용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금융규제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금융회사뿐만 아니라 감독당국도 규제준수 모니터링을 기술적으로 고도화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규제환경이 많이 변하면서 금융회사들이 준수해야 할 규제의 양과 범위가 빠르게 증가했다"며 "최근 비전통적 핀테크산업 발전과 금융산업의 급속한 디지털화로 감독당국의 규제준수 모니터링 업무 어려움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금융회사의 레그테크(Regulation Technology) 활용 확대와 함께 규제 감독기관들의 섭테크 활용 확대 노력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BIS 보고서가 조사한 100여개 국가 중 1/3 정도에서 섭테크 로드맵을 수립했다"며 "호주 증권투자위원회(ASIC)와 싱가포르 통화청(MAS)의 경우 감독업무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프로세스나 시스템을 도입하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이 연구위원은 섭테크를 활용하면 감독 실효성 강화와 비용 감소, 역량 증대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고 언급했다. 금융회사도 자동화된 보고업무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국내 감독당국도 현재 여러 섭테크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기계가 법규를 인식·이해하고 금융회사의 IT시스템을 통한 규제준수를 지원하는 머신리더블 레귤레이션(MRR) 사업과 AI를 활용한 펀드 약관심사 사업 등을 시범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국내 감독당국의 경우 레그테크·섭테크 관련 업무가 핀테크영역의 일부로 포함돼 조직 내 독자적인 지위나 인력 등 지원기반이 취약한 편이라는 점이다.

이 연구위원은 "조직 전반에 데이터기반 감독행정 확대, 섭테크 적용을 통한 감독업무의 기술적 고도화와 효율화 가능성, 조직의 기술적 전문화 강화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이 충분히 확산하지 않아 향후 감독당국의 섭테크 활용 확대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직 내 섭테크 인프라 강화와 명시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섭테크 전략 발전과정에서 경영진의 지원, 전문화된 인력자원, 실제 감독 업무 부서의 참여와 인정이 필요하다"며 "향후 지속적인 섭테크 추진과 발전을 위해 명확한 로드맵과 인력자원, 감독업무와 연계, IT시스템, 디지털·데이터 중심 업무 교육 등 섭테크 업무 인프라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