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한국감정원은 서울 주택의 소득대비 가격(PIR) 수준이 과도하다고 진단했다.

작년 하반기 이후 증가한 유동성이 일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서울 주택시장에 유입되며 가격을 끌어올렸기 때문인데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이 차단되고 보유세 부담이 증가하는 만큼 올해 하반기부터는 조정을 맞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성식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21일 열린 '2019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20년 전망' 브리핑에서 "서울의 PIR이 10을 넘어섰다"며 "소득 대비 집값 수준이 과도하게 높기 때문에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의 PIR은 2016년 9.1, 2017년 10.2, 2018년 10.9를 나타냈다.

같은 기간 지방은 3.8, 4.0, 3.8의 흐름을, 수도권의 경기도도 5.0, 5.1, 5.2의 흐름을 나타낸 점을 고려하면 서울의 소득대비 주택 가격이 두 배 이상 높았다.

김성식 원장은 "중국의 베이징, 도시국가인 싱가포르, 캐나다 밴쿠버 등 일부 도시의 비정상적인 상황을 제외하면 세계 국가 수도의 PIR은 5~6 정도가 평균"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서울의 주택 가격이 소득과 비교해도 과도하게 상승한 원인으로는 저금리에 따른 유동성 유입을 들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광의 통화량 비율은 2014년 1.33배에서 2018년 1.43배로 껑충 뛰었고 작년 10월 기준으로는 1.52배까지 증가했다.

이준용 한국감정원 시장분석연구부장은 "작년 하반기 들어 금리 인상 기대가 인하로 전환하고 주택담보대출금리가 내리면서 유동성이 많이 증가했다"며 "가격 상승기대가 큰 재건축 시장 중심으로 유동성이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이 부장은 서울의 주택 수급은 매년 6만~8만호가 준공된 데다 멸실주택을 포함한 주택재고량도 2015년 286만5천호에서 2018년 300만8천호로 순증을 나타내는 등 수급상의 원인은 찾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른바 매물 잠김 현상에 대해서도 "서울은 그렇게 작은 시장이 아니다"며 "대체되는 주택이 많이 있기 때문에 매물잠김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저금리에 따른 유동성으로 서울 주택가격이 작년 하반기부터 상승했지만, 12.16대책에서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을 차단한 데다 올해부터 보유세 강화에 따른 세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에 하반기에는 본격적인 조정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감정원은 종합부동산세율 강화에 따른 평균 보유세(재산세 포함) 부담은 2022년 기준 연간 37만원에서 최대 2천300만원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보유세 5천만원 이상 납부하는 사람은 시세 대비 4.07%의 세금부담을 지니는 등 순자산 감소효과가 나타나 고가주택의 투자 매력이 반감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부장은 "보유세 강화는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규제와 함께 생각해봐야 한다"며 "기대가격 상승률이 보합세인데 보유세 부담이 느는 것은 순자산 감소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투자목적의 보유가 힘들게 된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4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