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김예원 기자 = 이른바 '우한 폐렴'으로 알려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국내 은행권에도 비상이 걸렸다. 공항부터 병원, 도서(島嶼)·산간(山間) 지역까지 은행권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시중 은행장들은 설 연휴를 마치고 대면·화상 회의를 진행하면서 대비에 만전을 기하는 모습이다.

28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내 5대 은행(국민·농협·신한·우리·하나)의 영업점포는 총 3천885개다. 국민은행과 농협은행이 800개 이상이고 신한·우리은행이 700여개 등이다. 하나은행의 669개 영업점에 각 은행 출장소까지 합치면 사실상 우리나라 어디에서든 은행을 만날 수 있다.

이렇다 보니 자칫 은행 창구가 감염 경로가 될까 은행장들도 노심초사다.

진옥동 신한은행장은 설 연휴 마지막 날인 지난 27일, 공항과 병원 지점 등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곳에 대한 보고를 받고 대응을 철저히 하라고 주문했다. 이날은 오전부터 임원 회의를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 대응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본점에는 열 감지기가 설치돼 감염 의심자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했고 각 지점장에게 전권을 주고 할 수 있는 방안을 모두 한다는 방침을 내렸다.

농협은행은 이날 오전 7시 20분부터 종합기획부장이 주관한 부서장 회의를 했다. 이대훈 농협은행장은 오전 8시에 화상으로 전국 영업본부장들을 만나 주의를 당부했다. 설 연휴에 중국을 다녀온 직원의 출근을 금지했고 집합 교육이나 회의, 교육, 출장, 회식 등을 다음으로 미루도록 권고했다.

국민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비상대책위원회와 종합상황반을 운영한다. 해외법인·점포까지 비상점검 회의와 비상 연락망을 가동한다. 자산관리(WM) 부문도 시장 동향을 살피며 고객 자산 손익 동향에 발 빠르게 대처할 계획이다.

하나은행은 지성규 행장을 위원장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위기 대응 단계를 '경계'로 격상했다. 최고단계인 '심각' 전 단계로 중국 현지법인까지 포괄한다. 국가 전염병 위기 대응 단계에 맞춰 세부지침이 바로 적용된다.

우리은행은 직원의 가족까지 의심자가 있는지 확인하고 전산센터 등 좁은 공간에 많은 인파가 밀집한 곳은 체온계로 상태를 실시간 파악 중이다. 외국인특화점포는 더욱 예방에 신경을 쓰도록 조치했다. 21개 영업점을 보유한 중국법인은 예의주시 대상이다. 다만, 바이러스 초기 발생지인 중국 우한시에는 점포와 파견근무자가 없는 상태다.

한 은행 관계자는 "개인고객에 대한 업무는 모바일로 많이 전환됐지만, 월말이라는 시기적 특성 때문에 영업점 방문이 많을 수 있다"며 "디지털금융에 취약한 계층이 바이러스에도 약한 노약자라는 것이 우려를 키운다"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1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