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정부가 국내 국적항공사에 대한 긴급 지원대책을 내놓은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항공업계에 실질적으로 상당한 타격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수출규제 이후 황금 노선이던 일본 노선을 대거 줄이며서 이미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입은 항공사들은 대체지로 택했던 중국에서도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

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달 59개 한중 노선 중 국적 항공사의 운항횟수는 무려 77% 급감했고, 동남아 주요 노선으로까지 확산하면서 수요가 급격히 줄었다.

이달 들어서도 중국 노선 운항횟수는 64.2% 줄면서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운항횟수 급감과 수요 위축 속도는 발병 3~4개월 후 여객감소로 이어졌던 2003년의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2015년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보다 빠르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이러한 상황은 곧바로 경제적 손실로 나타나고 있다.

여행심리 위축으로 중국과 동남아 등의 항공권 예약취소와 환불이 급증하면서 최근 3주간 항공사 환불 금액은 3천억원에 달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각각 1천275억원과 671억원을 환불했고,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과 진에어도 각각 225억원과 290억원을 돌려줬다.

이스타항공(190억원)과 에어서울(40억원), 티웨이(227억원)도 환불사태를 비껴가진 못했다.

항공화물 운항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

중국발 인천공항 경유 미주·유럽·동남아행 항공화물 물동량이 급감해 화물 간선 네트워크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이달 들어 3일부터 9일까지 대한항공의 한중 화물노선 운항은 32% 급감했고, 특히 중국화물의 80%를 차지하는 환적화물은 절반으로 줄었다.

정부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할 경우 항공업계에 미치는 피해가 예상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항공업계에 가장 큰 타격이었던 2001년 9·11 테러 때보다 항공시장이 4배 이상 성장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이 훨씬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무엇보다 지방공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지역 LCC가 위기 상황을 맞게 된다면 지역 일자리에 타격을 주고 경기침체를 가속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0일 항공사 최고경영자(CEO)들과 긴급 간담회를 열어 지원방안을 논의한 것도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이었다.

당시 김 장관은 "2003년 사스 발생시에는 국제항공 여객이 2천150만명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9천만 명으로 항공시장 자체가 4배 이상 성장했다"며 "항공사도 2개에서 10개로 늘고 지상조업 등 연관업종까지 고려한다면 항공업계에 미치는 타격은 훨씬 크다"고 우려한 바 있다.

jw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4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