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2019년 말 순대외금융자산이 연말 기준으로 5천억 달러를 사상 처음으로 웃돌았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유지된 가운데 대외지급 능력과 건전성 지표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한 데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은 20일 '2019년 말 국제투자대조표'를 발표하고 지난해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 Net IIP)이 5천9억 달러로 전년 말 4천362억 달러보다 648억 달러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분기 이미 5천억 달러를 돌파했으나 연말 기준으로는 사상 처음이다. 지난 2018년 이후 2년 연속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순대외금융자산 5천억 달러 돌파에 대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유지된 점이 뒷받침했다"며 "우리나라 투자자들의 투자 다변화 영향으로 수익률 제고 차원에서 해외투자를 늘린 영향으로 보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향후에는 본원소득수지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대외금융자산은 전년 말 대비 1천534억달러 증가한 1조 6천997억달러를 나타내 거주자의 증권투자 잔액이 1천70억 달러로 크게 늘어난 영향을 반영했다.

직접투자의 경우 지분투자를 중심으로 전년 말 대비 349억 달러 늘어났고 증권투자의 경우 지분 증권, 부채성 증권 투자가 각각 838억 달러, 233억 달러씩 늘어나 전년 말 대비 1천70억달러 증가했다.

대외금융부채는 비거주자의 증권투자 잔액이 747억달러 늘어난 데 따라 전년 말 대비 886억 달러 증가한 1조 1천988억달러를 나타냈다.

직접투자의 경우 지분투자를 중심으로 전년 말 대비 13억 달러 증가했고, 증권 투자의 경우 국내 주가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말 대비 747억 달러 증가했다.

2019년 중 종합주가지수(KOSPI) 상승률은 7.7%를 나타낸 바 있고 대미 달러 원화 절하율은 3.4%를 보였다.

지난해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4천806억 달러로 전년 말 4천776억 달러에 비해 30억 달러 증가했다.

대외채권은 전년 말 대비 288억달러 증가한 9천476억달러, 준비자산은 전년 말 대비 51억 달러 증가한 4천88억 달러를 나타냈다.

대외채무는 전년 말 대비 258억달러 증가한 4천670억 달러였다.

만기별로 보면 단기 대외 채권이 18억 달러 줄어든 반면 장기 대외채권이 306억 달러 증가했다.

단기 대외채권은 기타부문의 현금 및 예금 등이 감소했고 장기 대외채권은 기타부문의 부채성 증권이 증가한 영향이 반영됐다.

기타 부문은 증권사, 자산운용사, 보험사 등의 기타금융기관과 비금융기업 등으로 구성됐다.

부문별 대외 채권은 일반정부(1억달러), 중앙은행(52억달러), 기타부문(240억달러)은 증가했고 예금취급기관은 5억달러 감소했다.

대외채무 세부 내역을 보면 만기별로 단기외채와 장기외채가 각각 89억 달러, 169억 달러 증가했다.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2.9%, 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 비중은 28.8%로 각각 전년 말 대비 1.8%포인트, 0.3%포인트 상승했다.

단기 외채 증가는 예금취급 기관의 차입금이, 장기외채 증가는 일반 정부의 부채성 증권이 주도했다고 한은 측은 설명했다.

대외 채무의 경우 일반정부(83억달러), 예금취급기관(147억달러), 기타부문(55억 달러)이 증가했으나 중앙은행은 26억 달러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소폭 증가했으나 대외지급 능력이나 대외건전성 지표는 양호한 수준을 지속하고 있고 지난해 6월 말 이후 2분기 연속 낮아지는 추세에 있다"며 "단기 외채 구성을 보면 위기 시에는 차입금이 많으나 최근에는 중앙은행 통안채에 외국인의 투자 여부에 따라 단기외채 규모가 영향을 받고, 연말에 자금 수요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단기외채 비율이 급등할 경우 위험신호로 볼 수 있으나 과거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외국인들이 투자 유인이 있어 투자를 하는 것이라 우리나라 건전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긴 어렵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sy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