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닷새 만에 비상경제회의를 소집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자금시장 혼란에 대응한다. 자금경색이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어떤 메시지를 던질지 이목이 쏠린다.

23일 연합인포맥스의 기업어음(CP)·전자단기사채(전단채) 통합통계를 보면 지난 20일 금융사와 공공기관을 제외한 일반 회사의 전단채 발행 규모는 3조2천530억원으로 집계됐다. 5거래일째 감소세다. 전주 일평균(4조6천241억원)과 비교하면 30%가량이 줄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자금시장이 극단적인 안전자산 선호를 보이면서 기업들이 단기자금 조달에도 애를 먹고 있다. 지난 1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긴급히 기준금리를 50bp(1bp=0.01%포인트) 인하할 때만 해도 'A2'의 신용등급의 기업이 7일짜리 자금을 빌리는데 금리는 2.86%였다. 지금은 3.11%까지 치솟았고 상황에 따라서는 원하는 조달 규모를 맞추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시장 관계자는 "국채까지 흔들리는 극단적인 현금 선호로 금리 인하 약발이 실물 부문에서는 전혀 듣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결국, 정부는 지난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를 내걸었고 오는 24일 집행계획과 규모 등 구체적인 계획이 나올 예정이다.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과 증권시장안정펀드도 예고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자금시장 불안을 좌시하지 않고 2차 비상경제회의를 닷새 만에 소집한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위원장은 "내일(24일)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회의에서 자금시장안정화 대책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시사했다.

세부적인 대책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도 관심사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버팀목'이라는 표현을 쓰며 코로나19 피해 대응을 강조했다. 내수가 살아날 때까지 금융이 안전판 역할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문 대통령은 외환시장에도 한 차례 메시지를 던졌다.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이후 "국내 외환시장의 안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외환시장 안정화에 이어 채권시장과 주식시장 안정화를 위해 강력한 대책을 세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도 서울채권시장에서는 오전 현재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7bp가량 상승(채권 가치 하락)하고 환율 30원 이상 급등,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사이드카 발동 등 이른바 '트리플' 약세가 재현되고 있다.

다만,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재난기본소득 등 복지차원의 현금지원 정책은 논의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당의 요구까지 나왔지만, 아직은 국민들의 수용도 등을 검토하는 단계로 추정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내일 비상경제회의에서는 금융시장 안정화 대책 외의 논의될 만한 것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재정당국인 기획재정부도 한국형 재난기본소득 도입 여부는 정해진 바 없다는 입장이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2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