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불황에 대비하기 위해 국채나 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의 양적완화 한도를 폐지한 것이 국내 증시에 어떤 파장을 줄지 주목된다.

미 연준이 사실상 '무제한 양적완화'에 들어갔음에도 미국 주요 3대 지수는 하락을 면치 못했기 때문에 우리 증시에도 제한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증시 전문가들은 24일 미 연준이 시장의 유동성 고갈 가능성에 과거의 위기 대응을 뛰어넘는 대응에 나서고 있다며 향후 증시 상황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의 무제한 QE발표에도 재정정책 불확실성에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했고, 재정정책은 민주당과 공화당 이견으로 코로나 3번째 재정 부양책이 상원 투표에서 또다시 불발됐다"고 언급했다.

그는 "코로나19 글로벌 확진자수가 35만명을 상회하고, 미국 확진자수가 3만5천명을 상회하면서 정부 정책 속도감에 주목하고 있지만 경기침체 강도와 기간에 대한 불안심리는 여전하다"고 판단했다.

이어 "다만, 이탈리아 확진자수 증가세 추이가 둔화되는 점과 테크, 헬스케어 중심의 매수세가 유입된 점은 긍정적이며, 무차별적 패닉셀에서 선별적 접근이 시작됐다"고 진단했다.

김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은 현 상황을 금융위기 혹은 그 이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판단된다"며 "금리인하 후 3주도 안된 기간 안에 또 다른 완화책을 제시하고, 사실상 무제한 QE를 선언한 가운데 회사채 시장에 대한 유동성 공급을 시사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전망치 하향 조정 속도가 빨라졌지만 여전히 하반기 하향조정은 미미한 상태"라며 "유가, 환율, 금리 등 매크로 지표 변화가 연초 가정을 크게 벗어난 상황이라 1분기 실적이 전망치를 하회할 경우 2분기 이후 전망치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과거 금융위기 이후 코스피가 바닥을 형성하고도 한참동안 박스권에 머물렀던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이재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코스피 저점은 글로벌 정책 공조에 10월 27일에 형성됐다"며 "이후 4개월간 코스피는 기업유동성 위기와 어닝쇼크와 같은 후폭풍에 시달리면서 900~1200포인트의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당시 가장 낙폭이 컸던 업종은 조선이었고 208년 1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주가가 16% 상승했다"면서도"당시 건설, 에너지, 은행도 낙폭 과대주였지만 기간내 주가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고 짚었다.

이에 그는 "큰 위기 이후에는 낙폭과대, 저밸류, 고배당과 같은 전통적인 접근 방식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며 셀트리온, 엔씨소프트, 한샘 등이 금융위기 이후 회복국면에서 주가 수익률이 좋았던 점을 강조했다.

중앙은행의 위기급 대응이 이어지는 가운데 증시가 반등하기 위해서는 코로나19 확진자수 증가세의 둔화가 필수 요소가 됐다.

아무리 돈을 뿌려도 위기나 공황에 대한 불안심리가 남아있는 한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한번도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불안감이 공포심리를 극대화하고 있다"며 "증시 안정의 첫번째 키는 코로나19 확진자수 증가의 둔화, 신용리스크 불안감 해소, 실효성 있는 정책"이라고 봤다.

그는 "코로나19 확진자수 증가 둔화, 백신 임상실험 통과 등이 선행돼야 투자심리 불안을 달랠 수 있다"고 짚었다.

syju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