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지방은행부터 시작된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의 국내은행 신용등급 하향조정 검토가 은행권 전반으로 퍼질지 관심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무디스는 지난 24일 기업은행을 비롯해 부산·대구·제주·경남은행의 신용등급 하향조정 검수에 착수했다.

무디스는 대상 은행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취약한 중소기업들에 대한 익스포져가 높아 향후 자산건전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실제로 기업은행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총대출 잔액이 206조3천억원인데, 이중에서 중소기업 대출이 162조7천억원을 차지해 전체의 79%에 달했다.

지방은행의 경우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 혹은 업종을 주된 영업기반으로 삼고 있어 이번 신용등급 강등 검토대상에 포함됐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일부 지역이나 특정 업종만을 겨냥한 것이 아닌 한국 경제 전반에 퍼지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 강등 검토는 일부 은행에만 해당하는 이야기는 아니라는 시각도 나온다.

앞으로 은행권 전반에 퍼질 수 있다는 하나의 시그널이라는 분석이다.

무디스가 신용평가 강등 검토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던 중소기업 여신의 경우 시중은행들의 규모도 상당히 커졌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은행의 중소기업대출 규모는 369조9천10억원으로 지난 2018년에 343조9천650억원이었던 것에 비해 7.5% 증가했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주요 은행에 중소기업대출과 혁신금융을 확대해달라고 요청했던 것에 발을 맞췄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는 대기업과 중견기업 또한 코로나19 사태에 취약해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중소기업 여신이 아니더라도 익스포져는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가 마련한 100조원 규모의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에 5대 금융지주가 수조원 규모로 참여하기로 한 것도 향후 자본 건전성에 부담이 될 수 있다.

현시점에서의 5대 금융지주의 자본건전성은 적정 수준을 크게 웃돈다. 다만 향후 코로나19로 기업과 가계 대출 부실이 현실화하면 부담이 커질 수도 있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기존의 지역적 우려가 쌓인 은행들에 대한 신용등급 강등 검토가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된 것으로 판단한다"며 "은행업계 전반으로 퍼질지에 대해서는 지표나 실적에 반영이 아직 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단언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했다.

jhson1@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3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