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변명섭 기자 = 수신기능이 없는 카드사와 캐피탈사에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대출을 중심으로 한 6개월 상환유예가 시행돼 유동성 우려가 제기된다.

최근 단기 자금시장 경색이 이어지는 가운데 상환유예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이들 업권에 대한 채권안정펀드의 적절한 투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일 여신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이날부터 상환유예를 시행하는 여신업권 관련 대출은 전체 여신업권 고객의 30%가량으로 추정된다.

상환유예를 위해서는 카드론(가계대출)의 경우 개인사업자라는 점이 증명돼야 한다. 사업용 상용차 구입 대출과 사업자금 용도 주택담보대출도 포함된다.

오는 9월30일까지 상환 기간이 도래하는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중소기업 대출이 해당된다.

금융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을 돕기 위해 여전사 대출에 대한 상환유예를 전격 시행하는 셈이다.

카드사와 캐피탈사 입장에서는 최근 기업어음(CP),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등 채권시장이 불안해지며 자금 조달 여건이 어려워진 시점에서 상환유예까지 겹치며 중소 캐피탈사를 중심으로 한 유동성 우려를 표하고 있다.

대형 카드사 등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높아 자금 조달 여건이 양호한 곳을 제외하면 일부 캐피탈사는 상환유예로 적절한 자금 회전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으로 금융기관 기준 CP발행 잔액은 34조1천억원으로 이 가운데 캐피탈사가 8조6천억원(25.2%)에 달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CP 금리는 지난달 31일 CP 91일물(A1등급 기준)으로 2.19%로 고시돼 지난 2015년 3월4일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실제로 지난달 들어 CP 금리가 치솟고 주요 자금 투자자들도 중장기물 보다 단기 자금시장에 몰리면서 정상적인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힘들어지고 있다는 것이 여전업계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달 30일부터 CP 등 단기자금시장에 최대 3조원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이달부터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 프로그램(P-CBO)을 통해 여전채를 매입할 예정이다.

김상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국내자금시장의 혼란을 초래했던 CP 시장의 경우 금융사들의 단기조달급증에 따른 여파가 지속하면서 아직은 여진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은행권과 달리 수신 기능이 없는 여전사의 경우 6개월 원리금 상황유예 정책에 따른 영향이 크다"며 "정책의 실효성을 위해 유동성 경색이 나오지 않도록 적절한 자금 투입 등을 고려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msbyu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