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는 중국 내부의 성장 리스크를 자극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6일 코로나19 사태가 2분기 내로 마무리되면 성장률 둔화나 기업 크레딧 등의 리스크는 중국 정부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3분기를 넘어간다면 실물 경제 충격으로 정부의 통제를 넘어설 수 있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로 글로벌 경제활동이 둔화하며 중국 경제 성장률 상승세가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국은 작년 6%대 고성장을 기록했지만, 올해는 성장률이 3%대까지 내려올 수도 있다는 시각도 나타나는 상황이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올해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3.3%로 제시했다.

피치에서는 중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7%에서 1.6%로 하향했고, 세계은행은 중국의 기본 성장 전망치를 2.3%로 제시한 바 있다.

성장률 변동 폭이 커지면서 고용 시장에도 충격이 뒤따르고 있다.

중국에서는 매년 800만명에서 많게는 900만명까지 대학 졸업자가 고용시장으로 나오지만, 성장률이 둔화하면 이런 취업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중국의 도시 실업률은 올해 1월 5.3%에서 2월 6.2%로 급등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실업률 지표를 보면 과거와 비교해 크게 차이 나는 상태"라며 "실업자 수가 신규 취업자를 압도하는 시기가 올 수 있어 이에 상응하는 정책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기업들의 기업 부채도 주요한 리스크 중 하나다.

중국의 기업부채 규모는 디레버리징 정책에 상승 폭은 줄었지만, 금융위기 이후 지속해서 늘어났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중국의 비금융기업 부채 규모는 GDP 대비 150.4%다. 2016년 1분기 162%보다는 낮아졌지만, 미국 75.3%, 일본 102.9%와 비교하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중국 내 공장 가동 중지, 소비 둔화에 따른 수요 충격 등이 지속하면서 한계기업에 대한 우려도 커진 상황이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작년 중국 채무불이행(디폴트) 규모는 약 1천300억위안 규모로 2년 연속 최대치"라며 "중국 정부에서 위험을 막아주고는 있지만, 대대적인 부양을 하지 않는다면 이후 크레딧과 고용 등이 연달아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리스크에도 코로나19 이슈가 2분기 안으로 진정된다면 중국 경제의 회복 여력은 강하다는 평가다.

아직 기업이나 가계가 도산한 상황은 아니고, 양회에서 대규모 부양책이 나오면 다시 정상 궤도에 진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 연구원은 "코로나19가 단기적으로 끝나고 양회에서 부양책이 나오면 중국 내부 리스크는 관리 될 수준"이라며 "다만, 3분기 넘어서까지 장기화한다면 아무리 부양해도 경제가 멈추기 때문에 크레딧 리스크부터 시작해 큰 충격이 다가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2분기부터 경제가 정상화되는 시나리오에서는 대규모 경기 부양책이 나오면 V자 반등을 할 수 있다"며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해 기업이 도산해버리는 경우가 가장 큰 위협"이라고 설명했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