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하나·대구銀, 6일 오후 연장 신청할 듯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손지현 기자 = 외환파생상품 키코(KIKO)와 관련한 분쟁조정 수용 결정 시한이 임박했으나 은행들이 또다시 연장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금융지원에 골몰하는 은행 상황을 인지한 만큼 세 번째 연장 요청을 수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6일 금융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대구은행은 이날 오후 금감원에 키코 배상 여부에 대한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키코 배상과 관련한 의사 결정을 위해서는 이사회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아직 이사회가 열린 곳은 없다.

이들 은행은 지난달 말을 기점으로 새로운 이사회 진용이 갖춰졌다.

신한은행은 6명의 사외이사 중 헌법재판소 출신 법률전문가인 서기석 사외이사 등 3명이 새로 합류했다. 하나은행은 3명의 사외이사 중 유재훈 전 금융위 상임위원이 신규 선임됐고, 대구은행도 이용두 대구대 교수와 김한일 전 대구지방국세청 국세심사위원 등 3명 중 2명의 사외이사가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키코 배상 결정은 이사회의 결정이 중요하다. 재정 지출을 수반하는 만큼 사외이사에겐 배임 논란이 뒤따를 수도 있는 사안이다. 은행마다 법률적 검토를 수차례 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새 이사회가 꾸려진 지 보름이 갓 지난 시점이라 논의가 부족하다는 게 은행 측의 공통된 설명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안에 대한 설명은 비공식적으로 진행됐지만, 이를 위해 새로 꾸려진 이사회가 논의를 할 수 있는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했다"며 "코로나19로 이사회를 소집하기도 어려워 컨퍼런스콜 등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설명했다.

더욱이 현시점에서 은행권의 최대 현안은 코로나19 금융지원이다.

저마다 비상경영 체제를 가동 중인 은행들은 재무와 전략, 리스크관리 등 사업 부문별 컨틴전시 플랜에 따른 대책 마련에 한창이다.

무엇보다 정부가 마련한 100조원을 웃도는 민생·금융 안정 대책을 실행하고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중소기업 중심의 대출 공급에 영업점은 물론 본점 인력들도 숨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금감원도 은행권의 최대 현안이 코로나19 금융지원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이에 은행이 요청한다면 키코 배상에 대한 추가 논의 시간을 부여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연장 요청이면 받아줘야지 않겠느냐"며 "키코도 중요하지만, 현시점의 우선순위는 코로나19"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이사회 구성원도 바뀌어서 경영진과 논의 시간도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가 안정되고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수용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만약 신한·하나·대구은행이 최종적으로 금감원의 배상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일성하이스코·남화통상·원글로벌미디어·재영솔루텍 등 기업 4곳에 대한 논의는 종료된다.

앞서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는 이들 기업에 키코를 판매한 은행 6곳에 피해액의 최대 41%를 배상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은행별 배상액은 신한은행 150억원, 우리은행 42억원, 산업은행 28억원, KEB하나은행 18억원, 대구은행 11억원, 씨티은행 6억원이다.

이중 배상안을 수용한 곳은 우리은행뿐이다. 산업은행과 씨티은행은 받아들이지 않기로 최종적으로 확정했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외국계 은행인 씨티은행이 배상 수용안을 거부하면서 다른 은행들도 금감원 권고안을 받아들이지 않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키코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달 9일 배상 규모가 가장 큰 신한은행을 찾아 면담을 진행하기도 했다. 신한은행은 키코 피해기업의 재기를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찾기로 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키코 배상안 수용이라는 명분보단 기업들이 실제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1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