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우리 대기업의 수익성이 글로벌 대기업 평균에 못 미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6일 발표한 '2011, 2019년 포브스 글로벌 2000대 기업 분석'에서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 조선, 철강, 화학 등 우리나라 6대 제조업의 영업이익률 평균이 5.4%로 같은 업종 글로벌 기업 9.4%의 절반 수준이라고 밝혔다.

유틸리티(-0.9%), 백화점·할인마트(-0.8%), 항공서비스(-1.5%) 업종은 영업손실을 입어 영업이익을 낸 해외기업들과 큰 격차를 보였다.

포브스 2000에 포함된 국내 업종 23개 중 업종별 영업이익률이 해외기업 평균보다 높은 곳은 광업 및 비철금속, 제약·바이오, 종합 및 전문 금융서비스, 화장품·생활용품 등 4개 업종에 그쳤다.

한경연은 에너지, 유통·항공 분야 외에 반도체 등 주력 산업에서도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포브스 2000의 총 57개 업종 중 한국 기업이 포함된 업종은 23개로 미국(55개), 일본(45개), 중국(43개)의 절반 수준이어서 업종 다양성도 부족했다.

지난 2011년 61개사이던 포브스2000에 포함된 국내 기업 숫자는 지난해 62개사로 1개사가 늘었고 업종 수는 23개 업종으로 동일했다.

한경연은 2011년과 비교해 2019년 포브스2000에서는 IT·항공우주·의료·헬스케어 등 8대 신성장 업종의 시가총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한국 기업은 5개 회사만 이 분야에 포함되는 등 글로벌 먹거리 트랜드에 뒤처졌다고 지적했다.

5개 회사는 인터넷 서비스 업종의 삼성SDS와 네이버, 반도체 업종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제약·바이오 업종의 셀트리온 등이다.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에 포함되는 곳도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등 3개사밖에 없어 포브스2000 기업을 50개사 이상 배출한 미국, 중국, 일본 등 상위 9개국 중 최하위였다.

대표기업의 시가총액도 세계 1위 기업에 비해 부족했다.

국내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도 세계 1위인 애플 시가총액의 28.3%였고 자동차업계 1위인 현대자동차도 글로벌 최대 기업인 토요타의 17.7% 수준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주력 제조업의 수익성이 낮고 신산업 분야에서도 글로벌 기업을 배출하지 못해 세계무대에서 뒤처져 있다"며, "최근에는 코로나19가 겹쳐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에 비상이 걸렸다"고 말했다.

추 실장은 "정부가 이번 위기를 계기로 규제, 노동, 세제의 3대 개혁에 나서 기업의 활력을 제고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spna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