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기획재정부는 13일 거시경제금융 회의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장관급 협의체인 관계 장관회의(녹실회의)를 가동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이 외환위기 수준으로 나타난 탓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당초 1차관 주재로 고용에 대해 언급을 하려고 했지만, 사태가 심각하다는 판단하에 경제부총리가 주재하는 녹실회의에서 다루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녹실회의는 주요 현안에 대해 조율이 이뤄지는 비공개 경제장관급 회의다. 이날 회의에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강신욱 통계청장,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 등이 참석했다.

실제 이날 발표된 고용지표는 그야말로 '참사' 수준이다.

4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47만6천명 급감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9년 2월(-65만8천명)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른 영향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21만2천명), 교육 서비스업(-13만명)의 업종이 취업자 수를 끌어내렸다. 두 업종의 감소 폭은 지난 2014년 1월 10차 산업분류 개정을 한 이후로 가장 크다.

올해 1, 2월 회복기에 있던 제조업도 4만4천명 감소하며 다시 고용 한파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노인 일자리와 코로나19에 따른 의료 수요의 증가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7만3천명 늘었다.

코로나19는 취약계층에 더욱 큰 타격을 줬다.

임금 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40만명 늘었지만,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각각 58만7천명, 19만5천명 급감했다. 이 가운데 임시근로자의 감소 폭은 지난 1990년 1월 이후 가장 크다.

청년층 취업자는 24만5천명 줄었다. 2009년 1월(-26만2천명) 이후 최대 감소다.

일시 휴직자는 148만5천명으로 2개월 연속으로 100만명 넘게 늘었다. 일시 휴직자는 현재는 취업자로 분류돼 있지만, 근로시간이 '제로(0)'인 근로자를 뜻한다. 사실상 직만 걸어놓은 상태여서 실직 우려가 크다.

경제활동인구는 55만명 감소했다. 구직활동 기준이 변경된 2000년 6월 이후 가장 많이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역대 최대인 83만1천명 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9.4%로 1.4%포인트 떨어졌다. 4월 기준으로 2010년 4월(59.2%) 이후 최저치다. 이는 하락 폭만 보면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5월(-1.4%포인트)과 같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4.9%로 2.5%포인트 올랐다. 통계를 작성한 2015년 1월 이후 가장 높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도 26.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고용 충격은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앞으로는 해고자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서 고용지표는 더욱 악화할 수 있다"면서 "정부 주도의 재정 일자리도 필요하지만, 해고자를 막기 위한 기업 지원방안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도 고용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속도전에 돌입했다.

이날 녹실회의에서는 "특히 영향을 크게 받는 임시ㆍ일용직,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고용시장의 어려움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정부는 오는 14일과 21일 경제 중대본을 개최하고 '55만개+알파' 규모의 직접 일자리 공급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제조업 등 기간산업 고용 충격이 확산하지 않도록 기간산업 안정 자금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가운데 추가적인 고용시장 안정 방안도 강구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현재 준비 중인 3차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해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 마련 작업에서도 고용안정과 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두고 가능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j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4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