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발행을 앞당긴다면 위안화의 국제적 입지가 강화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김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4일 '코로나 사태 속 미국과 중국의 대외적 접근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미국은 코로나 사태 때 미달러화 위상을 확고히 했지만, 자국 우선주의로 글로벌 이슈에 참여를 멀리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코로나 사태로 탈세계화와 글로벌 기업들의 탈중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은 코로나 사태를 대외적인 외연 확대 기회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중국은 자국 내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이 억제하자 의료용품 지원 등 대외 보건 외교에 힘쓰고 있다"며 "기업가치가 하락한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인수합병(M&A)도 시도하고 있다"고 얘기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의 교역과 협력관계 확대를 염두에 둔 정기적 접근이라는 해석이다.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코로나 사태로 전 세계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질 때 선진국·주요 신흥국들과 미 달러화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며 "국제금융시장에서 미 달러화 경색과 세계 경제 붕괴를 막아 세계 경제의 중앙은행 같은 역할을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통화스와프 범위가 선진국과 일부 주요 신흥국에만 국한돼 향후 미 달러화에 대한 대체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생겨났다"며 "미국은 자국 우선주의를 바탕으로 여러 분야에서 대외적인 역할을 스스로 감축하고 있어 국제 교역과 금융 부문에서 역할이 장기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이런 미국의 국제적 역할 감소가 중국과 위안화에는 국제적 입지를 강화할 좋은 기회"라며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와 관련해 미국의 신속한 움직임이 없는 가운데 중국이 앞서가면 위안화의 국제적 입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 위안화를 사용하는 경우 자금세탁과 화폐위조를 방지할 수 있지만, 모든 지급결제 정보는 중국 인민은행으로 집중된다"며 "따라서 지금보다 나아진 중국의 개방성과 투명성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