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 : 원)

◆김동욱 KB국민은행 팀장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둔화하고 있고, 경제 활동이 재개되고 있다. 또, 경기가 2분기에 저점을 기록하고 하반기에 회복된다는 기대감이 있다. 경기 회복 기대감과 풍부한 유동성으로 위험 회피 심리가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흥국 통화가 반등하고 원화에는 약세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 고조는 불확실성 요인이다. 특히, '홍콩 국가보안법(홍콩 보안법)'을 둘러싼 미·중 갈등은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거대 경제 대국의 충돌이라는 점에서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금융시장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시장의 확신이 부족할 경우 안전 피난처인 달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며 달러-원 환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6월 전망치 2020년 3분기 2020년 4분기2021년 1분기
1,220~1,2601,190 1,170 1,150




◆고부석 KDB산업은행 과장

6월 달러-원 환율의 가장 큰 이슈는 홍콩 보안법에 관련된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다. 달러-원 환율은 홍콩 뉴스에 따라 변동 폭을 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홍콩 이슈가 좋은 방향보다는 갈등이 증폭되는 쪽으로 갈 것 같다. 6월 달러-원 환율은 레벨을 점차 높이는 방향으로 갈 것 같다. 그러나 당국 경계감 등이 있어서 상단은 1,260원 정도에서 제한될 것으로 예상한다.

6월 전망치 2020년 3분기 2020년 4분기2021년 1분기
1,210~1,2601,220 1,220 1,220




◆강지원 하나은행 과장

6월 달러-원 환율은 점진적으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각국의 경제 활동 재개로 인한 경제 회복 기대감에 점진적으로 달러-원 환율이 하락할 것으로 본다. 다만, 홍콩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은 달러-원 환율 상승 재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6월 전망치 2020년 3분기 2020년 4분기2021년 1분기
1,225~1,2501,215 1,200 1,190




◆박세원 신한은행 과장

한국은행이 5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인하했지만, 시장에서는 미·중 갈등 양상이 어떻게 진행되는지가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럽발 세계 경제재개 움직임 등 글로벌 경제 재개 기대 촉발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미·중 갈등이 시장을 지배하겠지만, 유럽발 경제 재개 요인이 긍정적이라 리스크 오프(위험 회피) 분위기를 리스크 온(위험 선호)으로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달러-원 환율은 전반적으로 하단이 지지되는 가운데 레인지 자체는 조금 올라간 양상으로 생각한다. 다만, 유럽 경제 재개에 따른 리스크 온 회복은 미중이 극단으로 치닫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작용한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면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주 거래 레인지는 1,230~1,240원대로 예상한다.

6월 전망치 2020년 3분기 2020년 4분기2021년 1분기
1,210~1,2601,240 1,230 1,200




◆서창조 우리은행 과장

6월 달러-원 환율은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 수출 감소, 실물 지표 부진 등으로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 홍콩 국가보안법 입법에 따른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 고조도 달러-원 환율 상승 요소다. 다만, 주요국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는 국면으로 들어가고, 경제 재개에 대한 기대감, 주요 중앙은행들의 적극적인 재정·통화 정책 등으로 상승폭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한다.

6월 전망치 2020년 3분기 2020년 4분기2021년 1분기
1,210~1,2601,200 1,180 1,180




◆이응주 DGB대구은행 차장

코로나19가 근시일 내에 해소된다는 전제로 상승세를 이어온 증시 밸류에이션이 상당히 높아진 상태이지만, 수도권 지역에서의 코로나19 확산세와 홍콩보안법을 둘러싼 미중의 헤게모니 싸움 등 원화 강세에는 우호적이지 않은 여건이다. 증시에서 누적된 외국인 자금 순매도 관련 달러 매수 수요가 있고, 달러-위안(CNH) 환율도 7.2위안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무역 합의 이슈를 별개로 두더라도 환율 조작국 관련 이슈도 남아있다. 원화와 위안화와의 과도한 연동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수급, 심리 측면에서 원화 자체의 강세 모멘텀도 딱히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6월 전망치 2020년 3분기 2020년 4분기2021년 1분기
1,228~1,2501,200 1,200 1,180


hrl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1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