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을 제정한 데 따라 미국이 제재에 나설 것으로 보이며 이 제재는 중국의 달러부족 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직 미국이 중국에 어떤 조처를 할지 확실하지 않지만, 달러화 결제 시스템에서 중국 금융기관을 완전히 배제하는 극단적 조처가 나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그러나 중국과 연관된 금융 및 교역 연결 고리를 줄이는 제한을 확대하면서 점진적으로 중국에 대한 달러화 공급의 숨통을 조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미국은 지난해 통과한 홍콩 인권 및 민주주의 법안에 따라 이를 위반한 중국과 홍콩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제재에 나설 수 있다는 가능성이 거론된다.

라보뱅크의 마이클 에버리 아태선임 전략가는 만약 이렇게 되면 이런 개인들과 거래하는 중국의 은행들이 같은 제재에 놓이게 될지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제재의 성격에 따라 중국 은행과 글로벌 금융기관의 관계가 제한되거나 심지어 관계 단절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체는 중국이 이미 달러 부족을 우려하는 상황에서 홍콩보안법을 둘러싸고 미국의 제재 위협이 나오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충격파로 중국에서는 달러화 표시 부채 상환이나 대규모 수입 결제를 위해 달러화 수요가 크게 부각됐다.

코로나19로 수출이나 여행 수입, 해외직접 투자를 통해 외화를 벌어들일 능력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에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경상흑자는 405억달러였으나 1분기에 297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과거 10여년간 대부분 기간 중국은 대규모 경상흑자를 기록했으며 이는 달러화 조달의 주요 원천이었다.

여기에다 미·중 무역전쟁이 계속되고 있어 중국의 달러부족은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이는 데 전문가들은 중기적으로 중국의 무역수지가 '제로'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불안에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이 중국 내 제조업체를 자국으로 불러들이는 데 성공하면 중국의 무역수지는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이 달러화 유입에 기대를 거는 부분은 1단계 무역합의에서도 나온 금융시장 개혁정책이다.

태버시 리포트의 대니얼 태버시 창업자는 중국의 거대와 시장 및 성장 잠재력으로 인한 기회는 불확실한 정치적 상황에도 홍콩이나 중국으로의 대형 금융기관들의 외자 유입을 촉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미국 정부의 도의적 권고가 있을 수 있지만 만약 대형 거래가 성사될 수 있다면 월가 투자은행들은 이런 기회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표면적으로 보면 중국은 세계 최대인 3조1천억달러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갖고 있고, 이 가운데 절반이 달러표시 자산인 것으로 추정돼 달러 부족을 우려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대규모 외환보유액은 경제의 근본적 불안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다이아 캐피털마켓츠의 케빈 라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보유자산은 대규모 금융충격 때 쉽사리 현금으로 전환되지 않을 것이며 시장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고 대규모 자금이 이탈하기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sm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2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