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에 대한 규제 논의 속에 업계와 당국 간 줄다리기가 한창이다.

국내 증권사들의 ELS 대규모 발행에 따른 리스크 관리 문제에 대해선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나 총량 규제보다는 자체 헤징 규모를 줄이는 방향으로 규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일 연합인포맥스 ELS/DLS 발행실적(화면번호 8430)에 따르면 19개 증권사가 발행한 공·사모 ELS 발행액은 지난 2월 이후 줄곧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월 6조9천922억원 발행한 후 지난 3월 3조8천659억원으로 급감했고, 지난달에는 1조3천746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달 KB증권이 2천632억원어치 ELS를 발행하며 가장 큰 규모를 보였고 뒤이어 삼성증권이 2천229억원, 미래에셋대우가 1천377억원 발행했다.

특히 지난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증시 폭락으로 증권사들이 ELS 관련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 사태가 발생한 후 ELS 발행량은 급감했다.

마진콜 사태로 증권사들이 대규모 증거금 납입을 위해 급히 달러 조달에 나섰고 이에 따라 외환(FX) 스와프 시장과 현물환 시장이 요동친 바 있다. 또 외화 조달을 위해 단기채를 급히 매각하는 등 채권 시장까지 영향을 받자 ELS 발행량을 규제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다.

◇ 증권사들 ELS 대규모 발행에 리스크 관리 우려

한화투자증권 집계에 따르면 현재 ELS 잔액은 52조원 수준에 이른다. 이중 공모 ELS가 41조원(80%), 원화 ELS가 48조원 (93%)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ELS 판매 증권사는 일반적으로 조기상환을 가정해 직접 채권·예금·주식· 파생상품을 매매하는 '자체헤지'나 ELS와 동일 조건으로 외국 금융기관과 장외파생상품 거래를 하는 '백투백헤지' 포지션을 취한다. 여기서 조기 상환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발행 수수료 수익이 감소하고 조기상환 시점마다 헤지 포지션 재배치를 위한 비용 부담이 증가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발행 총량 규제는 ELS 발행 한도를 자기자본의 100%로 한정하는 방식이다.

100% 총량제 적용 시 3월 말 기준으로 삼성·한국·KB·신한·하나·신영·한화 7개 증권사의 자기자본 대비 ELS 잔액 비중이 100%를 초과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지난 3월 주가 지수가 급락하면서 자체 헤징하는 국내 대형증권사가 많았는데 너무 큰 금액을 운용하다 보니 주가 급락 시 선물 증거금을 낼 규모가 매우 커지면서 급히 달러 수급이 필요한 상황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며 "주가가 급락하면 헤지 포지션으로 선물을 사게 돼 있는데 거래소에 낼 증거금은 달러로 납입하게끔 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신용도에 큰 문제가 없는 대형 증권사들이라도 일시적으로 이런 사태가 발생할 경우 환율과 금리에 큰 영향 미칠 수밖에 없는 구조라 기재부, 금융위나 한은 등 당국에서 크게 우려했다"고 덧붙였다.

◇ 업계 "총량 규제보다 핀셋 규제해야"

증권사들은 총량 규제보다는 자체헤징 비율을 줄이고 백투백 헤지를 통한 리스크 관리가 더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다.

100% 총량제를 도입할 경우 엄격한 정량 규제에 따른 시장 위축과 투자자 선택권 침해, 또 다른 증권사 유동성위기 발생 가능성 우려가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삼성증권의 자체헤지 비율은 85%가량, KB증권의 경우 40% 후반대에 이른다.

김민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자체헤지 비중을 낮추거나, 자기자본 대비 ELS잔액 제한 비율을 200%로 상향하는 방식도 논의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며 "후자의 경우 총량제 규제로 인한 ELS 시장 위축과 증권사 유동성 부족 우려가 한층 완화될 수 있으며, ELS 헤지를 위한 여전채 투자수요가 감소해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도 낮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도 "외환시장 단기 변동성 문제는 자체헤징 규모가 커서 발생한 것"이라며 "증권사 자체헤징 리스크 관리가 느슨한 상황에서 규모를 늘린 게 문제이지 발행량에 '캡(상한)'을 두면 시장 전체에서 안 좋은 문제 발생할 수도 있어 총량 규제보다는 자체 헤징 규모에 대해 적정 부문 리스크 관리를 하는 방향이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현재 '증권사별 발행액 총량제' 관련해선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가 없다는 게 금융위원회 공식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ELS 시장의 문제점에 대해 시장도 공감하고 있고 업계와 계속 논의하고 있다"며 "업계가 우려하는 부분에 대해서 이미 듣고 있고 시장에 큰 충격이 없는 방향으로 하려고 한다. ELS 시장의 건전화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전혀 결정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sy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