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디지털화가 보험업계의 주된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향후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간의 장벽도 약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금융연구원은 23일 '코로나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이라는 제목의 리포트를 내고 "현행 상법상 인보험과 손해보험의 계약 분류는 여전히 유지되더라도 보험업법상 보험업의 구분은 유연하게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어 금융연구원은 "단순히 생보사와 손보사의 구분이 아닌 개인과 기업 등 위험 익스포저 주체별로의 구분이 더욱 적절할 수 있다"라고도 했다.

금융연구원은 향후 보험 개념이 재물이 아닌 사람을 따라가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향후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보험사가 운전자의 세부적인 주행 정보 등을 보험료에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초연결사회가 도래할 경우 차량이 아닌 운전자 중심의 보험료 체계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연구원은 "가계성 손해보험의 주된 담보 위험은 재산상 손실인데 초연결사회에서는 재물 자체에 대한 부담이 상당 부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며 "공유경제로 자동차나 주택과 같은 담보물에 대한 소유가 무의미해짐에 따라 결국 남게 되는 주된 위험은 피보험자의 상해와 배상책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융연구원은 "이러한 위험을 결정짓는 개인의 특성조차도 초연결성과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금융연구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금융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는 향후 판매채널 뿐 아니라 보험금지급, 상품 혁신 등의 측면에서 보험산업의 디지털화 전환을 가속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금융연구원은 "보험소비자들도 이미 디지털 트렌드에 익숙해져 가고 있으며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더라도 과거의 전통적인 소비 방식으로 돌아가진 않을 것"이라며 "새로운 패러다임에 국내 보험사들도 빨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jw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