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일본이 우리나라를 상대로 수출 규제를 한 지난 1년 동안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의 경쟁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으로부터 소재·부품·장비 등을 수입하는 주요 기업들이 일본의 수출 규제가 본격화 한 작년 7월을 기준으로 일본의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봤을 때 한국의 경쟁력은 89.6에서 올해 6월 91.6으로 올랐다.

이는 전경련이 시장조사 전문기업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비금융 업종 매출액 1천대 기업 중 일본과의 수입거래가 있는 우리 기업 149개사를 대상으로 설문해 30일 발표한 결과다.

업종별로 일본 대비 경쟁력 변화를 살펴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92.7에서 98.7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작년 7월초 3대 품목(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폴리이미드) 수출규제 이후 이들 품목에 대한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가장 컸다.

1차 금속 제조업은 88.1에서 92.5, 식료품 제조업은 91.9에서 96.3,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 97.0에서 101.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은 96.1에서 97.8로 경쟁력이 높아졌다.

일본 수출규제 및 한국에 대한 화이트국가 제외조치 이후 일본으로부터 소부장 수입에 실질적 어려움을 겪은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실질적 어려움이 없었다(45.6%)'는 응답이 '어려움이 있었다(23.5%)'보다 많았다.

일본의 조치가 실제 수출규제로 이어진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을 방증하는 결과이다.

실제 조사대상 기업의 68.5%는 수출규제 이후에도 소부장 수입선을 국내 또는 제3국으로 대체하지 않았다. 다만, 나머지 31.5% 기업은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국산화 등 공급선 변화를 도모했으며, 평균 3.35%를 일본 이외 공급선으로 대체했다.

한일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이를 위해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우리 소부장 경쟁력이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에 소부장 경쟁력을 일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의 꾸준한 노력과 함께, 양국 정부도 수출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yg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