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저축은행이 지속 가능해지려면 비이자수익 기반을 확대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연구원 세미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을 주제로 이렇게 발표했다.

구 선임연구위원은 저축은행이 은행 중심의 금융시스템에 더해 디지털화, 저금리·저성장·고령화 등 환경변화에 직면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빅데이터 분석 등이 은행 대출심사평가에 적용되고 대출중개플랫폼의 고객 맞춤형 대출중개서비스가 등장하면, 기존에 은행을 이용하지 못했던 고객들이 추가로 발굴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비은행 수익기반이던 고객군이 은행으로 이동하면서 비은행 우량고객군이 축소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저금리·고령화로 고객의 고수익 자산 운용 수요는 확대되지만, 저축은행은 예·적금 위주의 단순한 상품구조"라며 "저성장 추세는 중소기업 자금 수요를 위축해 저축은행 영업기반이 축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저축은행이 부동산 담보, 고금리 신용대출 등 현재 사업모델을 고수하면 고객기반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 선임연구위원은 "예대마진 축소에 대응할 수 있는 비이자수익 기반을 확대하고, 이를 위한 서비스와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현재 금융시장에서 업권 간 영업모델에 차이가 없다"며 "저축은행은 지역밀착형·관계형 금융을 기본 사업모델로 활용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보증과 정책금융 제공을 확대해야 한다"며 "저축은행에서 일정 금액을 출연하고 지역신용보증재단에서 저축은행용 보증서를 발급해주면, 이 고객정보를 활용해 자신의 고객으로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구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 전환을 통해 모집수수료를 절감하고 고객서비스·백오피스를 효율화하고, 고객에 대한 연성 정보를 활용한 사업성 평가능력을 제고하는 등 내부역량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