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요빈 기자 = 부동산 경기가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한국판 뉴딜을 계획하면서 증권사 유동성 문제에 취약고리로 지목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신용공여 움직임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지난 3월 말 증권사 유동성 경색 우려가 불거지면서 당국을 중심으로 한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제기된 만큼 아직은 조심스러운 분위기도 있지만 일부에서는 PF 딜 재개 움직임도 나타났다.

9일 연합인포맥스 CP/전단채 통합 유통정보에 따르면 이달 'A1' 등급의 PF-ABCP(자산담보부 기업어음) 3개월물 금리는 해당 거래를 단순평균해 합산한 결과 1.75%에 거래됐다.

전일 민간평가사 3사 기준으로 3개월물 CP 금리가 0.93%를 기록해 그 차이는 82bp 수준을 나타냈다.

한국은행의 무제한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등 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단기자금시장 불안은 점차 완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PF-ABCP 금리는 CP 금리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여전히 당국의 PF-ABCP를 비롯한 파생상품 규제 가능성에 경계감이 크다는 평가가 많지만, 일부 증권사 사이에서는 내부적으로 딜을 재개하려는 움직임도 관측된다.

증권사의 한 PF 관계자는 "지난 코로나 사태 이후에 증권사 PF 확약물이 시장에 팔리지 않아서 요즈음 한두 달은 어려웠다"면서도 "전단채 시장이 풀리면서 그간 못 했던 입지 좋은 PF 딜은 지금 한창 진행 중인데 코로나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보니 좀 엄선해서 하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주택을 비롯한 부동산 시장이 시중에 풍부한 유동성이 유입되면서 반등할 기미를 보이고,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한국판 뉴딜정책' 등이 예고되면서 PF-ABCP 발행 등이 다시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거시적 측면에서 PF 시장은 성장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 역시 코로나를 극복하기 위한 뉴딜정책을 밝혔는데 상당 부분 인프라로 건설이나 부동산 쪽을 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면 관련 자금 조달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부동산 문제를 최대 민생과제로 꼽으며 주택 공급 정책을 선두에 올린 점 역시 PF-ABCP 발행에 긍정적 요인으로 꼽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으로부터 주택시장 동향과 대응 방안에 대한 긴급보고를 받고 "정부가 상당한 물량의 공급을 했지만 부족하다는 인식이 있으니 발굴을 해서라도 추가로 공급 물량을 늘리라"고 지시했다.

다만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수익성보다는 공공성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는 만큼 그 영향이 직접적이지 않을 거라는 분석도 있었다.

김민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 정책이 집값을 잡겠다는 목적인 만큼 PF-ABCP와 다소 거리가 있을 수 있다"며 "증권사나 시공사에 수주가 늘어나는 점에서 나쁘지 않지만 유리하다고만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CP 시장) 경색이 극심했던 부분이 완화되고 있지만,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인포맥스 부동산 PF 신용공여 현황에 따르면 전일 증권사의 매입보장 및 확약 규모는 17조 원가량으로 지난 4월 중순경부터 재차 상승한 뒤 주춤하는 모양새다.

PF-ABCP 관련 모호한 규제 가능성을 내비치는 당국의 입장에 볼멘소리도 나왔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한은이 SPV를 설립하고 비우량 CP까지 매입하는 방안을 얘기한 마당에, PF-ABCP는 정부에서 계속 컨트롤하려고 하는 건 다소 모순적이다. 리스크는 강조해야 하겠지만 이대로 막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올해 부동산 PF 신용공여현황 및 추이, 연합인포맥스>



ybn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3시 4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