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금리 발언이 채권시장에 어느 정도 파장을 미칠지 시장 참가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홍 부총리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에서 '금리 담당자는 아니나 저금리를 재검토할 시점이 아니냐'는 질문에 "아마 (기준) 금리는 부동산시장과 연계해서 생각할 수도 있다"고 답했다.

홍 부총리는 "금리 문제는 한국은행 고유권한이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여러 가지 경제 상황이나 금리를 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이 결부돼 있어서 한은이 적절하게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부총리의 발언이 전해진 후 서울 채권시장에서는 증권사를 중심으로 3년 국채선물 매도가 몰리며 강세 폭을 줄였다. 한때 약세로 전환하기도 했다.

부총리 발언에 채권시장 파장이 큰 것은 과거 경험과 관련이 있다.

과거 부총리 또는 청와대 발언이 나오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은행이 금리를 조정한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시사한 것일 수 있어서다.

대표적으로 '척하면 척' 발언이 꼽힌다. 한은은 2014년 8월, 최 전 부총리를 중심으로 한 경제팀의 정책에 부응해 기준금리를 내렸다는 비판을 받았다.

2018년 금리 인상의 기억도 있다.

한국은행 금통위는 2018년 11월 말에 기준금리를 1.75%로 25bp 인상했는데, 이보다 두 달 정도 앞서 정부 고위 관계자는 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A 증권사의 채권 운용역은 "추가 완화를 두고 한은의 신중한 태도는 모두가 예상한 바다"며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실물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정부의 통화정책 관련 매파 발언은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B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이주열 한은 총재가 최근 출구전략을 여러 차례 언급하는 등 정부와 방향성이 비슷하다"며 "당장 다음 주 금통위에서 매파로 해석되는 발언이 세게 나올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금융안정에서 부동산 시장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것은 사실이다"며 "정부의 정책 우선순위에서도 부동산 시장 안정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내년 하반기에는 2017년 당시 예상보다 다소 빠르게 이뤄졌던 금리 인상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글로벌 경기 상황을 고려하면 통화정책의 완화정도 축소까지 생각할 정도는 아니라는 의견이 제기된다.

C 증권사의 채권 운용역은 "코로나19 확산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금융 불균형 위험만을 보고 완화 통화정책을 축소하지는 않을 것이다"며" 확대재정 정책을 펼치는 정부 입장에서는 금리가 오르면 조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고 말했다.

D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부총리의 금리 발언이 이례적이긴 하지만, 과거 '척하면 척' 발언 등과 비교하면 압박이 커 보이지 않는다"며 "채권시장의 강세를 제약하는 수준에서 그칠 것 같다"고 평가했다.

hwr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1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