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중소기업이 보유한 의약과 바이오, 정보통신 관련 기술이 고용정책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신용정보원이 13일 산업기술분류에 따른 고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의약과 바이오 및 정보통신 관련 기술 보유기업의 고용 창출효과가 높았다.

앞서 신정원은 기술신용평가 결과를 이용해 지난 2015년 1년간 평가된 약 2만4천개 기업을 산업기술분류에 따라 분류하고 4개년(2016년~2019년)간의 절대적·상대적 고용효과를 추적, 분석했다.

그 결과, 16개 기술 분야의 경우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기술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그중 11개 기술 분야는 기업 업력과 무관하게 지속적인 고용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약·바이오 기술과 디지털콘텐츠 등 6개 정보통신 관련 기술이 고용 창출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의약·바이오 기술은 4개년간 4.9%의 고용증가율과 매출액 10억원당 5.21명의 고용을 달성하여, 절대적·상대적 고용효과가 모두 높은 기술로 분류됐다. 전체 평균 고용증가율이 1.51%이고 매출액 10억원당 고용인원이 4.13명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정보통신 관련 6개 기술은 같은 기간 동안 3.66%의 고용증가율과 매출액 10억원당 5.79명의 고용을 달성해 상대적 고용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물인터넷(IoT), 소프트웨어(SW), 지식정보보안 등 업력에 따른 고용 형태변화가 나타나는 기술이 확인됨에 따라 해당 분야에 대한 고용효과의 연착륙이 가능하도록 정책당국의 세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신현준 신용정보원장은 "이번 분석 결과를 볼 때, 기업의 보유기술 및 기술력이 반영된 고용·산업정책을 통해 선도형 경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현재 구축 중인 기업 다중분석 DB에도 이러한 고용효과 정보를 제공하여 혁신금융이 금융 현장에서 자리 잡고 고용 창출 효과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jhson1@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4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