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가격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뜨거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금통위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금융시장 리스크 요인과 풍부한 유동성에 따른 자산가격 상승을 균형 있게 다뤘지만, 7월에는 관심의 축이 자산가격 상승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커졌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금통위 때 금통위원들은 코로나 재확산 우려 속에서도 자산가격 회복 속도가 빠르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지난 금통위까지만 해도 일부 위원이 금융시장의 신용 경계감을 언급했지만, 자산가격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모두 회복하면서 신용리스크보다는 자산가격 상승에 따른 금융 불균형 위험에 더 큰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위원은 이미 5월 금통위에서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이 더욱 뚜렷해지는 과정에서 개인이 고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등 수익 추구 성향이 강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실물경제를 부양하는 것이 긴요하지만, 중기적 시계에서는 금융 불균형 위험이 누증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었다.

한은의 유동성 공급 노력 결과 코스피지수는 코로나 이전 수준인 2,200포인트를 넘었고 단기와 중장기 차입금리는 각각 2bp와 78bp, 외평채 CDS 프리미엄은 27bp로 코로나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한은 70주년 기념사와 물가 안정 목표 설명회에서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언급하면서도 "금융 불균형이 누적될 가능성에 경계감을 늦춰서는 안 된다"며 "이번 위기가 진정되면 이러한 이례적 조치들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해 나가는 방안도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이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코로나가 '장마'라며, 금융권이 기업을 지금처럼 전방위·무차별적으로 계속할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할 때가 왔다고 말하기도 했다.

전방위적 지원에 따른 자산 인플레이션 부작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한은의 스탠스 변화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당장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할 수 있는 환경은 아니지만, 자산 인플레이션의 주원인이 저금리와 유동성 공급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한은이 자산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기 위해 어떤 대책을 내놓는지에 따라 금융시장 흐름이 달라질 수 있어서다.

한 금융시장 참가자는 "한은의 장기간 저금리와 유동성 공급이 실물 물가로 연결된 게 아니라 자산 인플레이션을 촉발했다"며 "한은의 스탠스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증권사 채권 딜러도 "7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변화 등 당장의 통화정책 변화는 쉽지 않다"면서도 "한은의 돈 풀기가 자산가격 상승으로 연결됐고, 이를 어떻게 해소할지가 한은의 골치 아픈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5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