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기업 부채 부실화에 따른 경제 위기 발발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정KPMG가 20일 '경제에 울리는 경고음, 부채 리스크와 코로나 쇼크' 보고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는 실물에서 일어난 복합적인 공급·수요 충격이 장기화해 금융 부문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들의 과도한 레버리지와 파생상품 관련 금융기관의 건전성 이슈가 원인이 돼 실물로 위기가 전이된 것과 대조된다는 것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글로벌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은 322%에 달하며 사상 최고치로 치솟은 가운데, 비금융기업의 부채 규모는 2009년 48조달러에서 55% 증가한 74조4천달러로 급증했다.

특히 전 세계 비금융기업의 회사채 발행 규모는 지난해 기준 13조5천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기업 부채의 질이 크게 낮아지면서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정크본드로 전락하기 직전의 'BBB' 등급 회사채는 지난해 말 기준 3조8천달러에 달하며 전 세계 회사채의 30%를 차지한다.

올 3월 기준 2조8천달러로 추산되는 미국의 하이일드채권·레버리지론과 같은 고위험 부채 규모는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2배 이상 많다.

향후 3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전 세계 비금융기업 회사채는 4조4천달러로 전례 없는 규모라고 보고서는 우려했다.

특히 글로벌 교역이 심각하게 감소하는 등 전 세계 산업의 가치사슬 붕괴가 현실화하고 있고 산업활동 마비로 공급과 생산 측면뿐 아니라 일부 업종을 제외한 소비 활동도 크게 위축되는 등 복합적인 위기에 당면했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매출 감소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한계기업의 파산이 리테일, 관광, 항공, 에너지 등의 업종을 중심으로 가시화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제 악화가 기업의 유동성을 압박하며 기업 부채의 부실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그러면서 기업 부채의 부실화로 금융권 손실 위험이 증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금융권으로 위기가 전이돼 경제 위기가 촉발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삼정KPMG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촉발 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코로나19 2차 유행 가능성, 백신·치료제 개발 현황, 전 세계 코로나19 확산 추이, 경기 회복 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 과거 팬데믹 사례와 현재 백신·치료제 개발 현황 등을 고려하면 하반기 2차 유행 가능성이 높아 코로나19의 영향이 장기화되어 경기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향후 현실화 가능성이 높은 코로나19 2차 유행·장기화에 대한 대비로 기업들이 건전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리스크를 사전적으로 식별, 관리해 위기에 대한 선제 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정책적으로는 실질적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간 산업에 대한 일자리 보호 및 위기 극복 지원이 필요하며, 산업 밸류 체인이 무너지지 않도록 대기업·중소기업 간 상생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원덕 삼정KPMG 금융산업 리더 부대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심각한 경기 위축이 기업의 유동성을 압박하고 있고 금융권 채권 및 투자자산의 부실화에 따른 손실 위험도 지속해서 증가해 경제 위기 촉발 또는 경기위축의 장기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은 지속해서 회사의 안전과 건전성 보호를 위해 비즈니스 관련 전사적 리스크를 관리해야 하며, 유동성 확보와 리스크 관리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체계화된 거버넌스를 통한 거시적인 기업 위기 대응 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ygju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