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실업률이 역대 최고로 치솟는 등 경제가 타격을 입은 중에도 미국 주택시장은 여전히 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역대 최저 수준인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와 부족한 주택판매 물량을 원인으로 지목하면서 상대적으로 고소득자인 주택소유자들이 코로나19의 실업 충격에서 한발 물러서 있었던 데다 미국 정부가 부여한 12개월 대출상환유예, 재택근무에 따른 교외이주 수요도 거들었다고 설명했다.

22일(현지시간)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6월 기존 주택판매(계절조정치)가 전월보다 20.7% 급증한 472만채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전문가 전망 집계치인 21.0% 증가한 483만채에는 못 미쳤지만 196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마켓워치는 전문가들이 주택시장을 '미국 경제회복의 빛나는 별'이라고 부른다며 다섯 가지 원인을 제시했다.

첫 번째 원인은 낮은 모기지 금리다.

30년물 고정 모기지 금리는 이번 주 들어 2.98%로 떨어져 사상 최저를 나타냈다. 다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차입비용이 역대 최저수준으로 낮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둘째, 구매자와 부족한 재고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에서 미국 경제를 담당하는 낸시 반덴 호우텐 이코노미스트는 "경제의 늦은 회복기간 중에도 굳건한 기저 수요와 제한된 공급이 주택 가격의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로 인해 주택가격의 중간값이 6월 들어 4.1% 오른 29만5천300달러를 기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셋째, 코로나19에 따른 침체의 영향이 소득에 따라 달랐다는 점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글로벌에 따르면 소득이 3만5천달러 아래인 가구의 소득 손실은 5월 초 50%를 넘어서며 극심했는데, 소득이 7만5천달러 이상인 가구는 40% 수준이었다.

NAR은 신규 주택구매자의 소득 중간값을 9만3천달러로 잡고 있다. 다만 이 점은 만약 실업률이 고소득자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면 주택시장도 취약해질 수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넷째,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법(Cares Act)에 따른 대출상환유예 조치다. 지난 4월 통과된 이 법안은 연방정부가 보증하는 모기지에 대해서는 12개월 동안 대출상환을 유예한다.

BoA의 미셸 메이어 이코노미스트는 "다른 대부업체들도 구제금융을 제공하기 위해 따랐고 유사한 대출유예규칙을 확장했다"고 설명했다. 모기지은행연합회(MBA)에 따르면 이달 12일 기준 대출상환유예를 받은 사람은 390만명으로 미국 내 주택담보대출의 7.8%에 달했다.

끝으로 뉴욕시와 같은 임차인 밀집 지역에서 코로나19 감염이 극심했던 점을 들 수 있다.

메이어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적용하는 동안 핵심업무지구에서의 감염사례 급증은 뉴욕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에서 도심지구를 벗어나 교외로 가기 시작하는 것을 보여줬다"고 적었다.

spna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3시 3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