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정부가 환경(그린뉴딜)과 디지털(디지털뉴딜)을 골자로 한 한국판 뉴딜정책을 내세우면서 증권가에서도 변화가 예고된다.

2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뉴딜 지수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공시 보완, 뉴딜 펀드, 뉴딜기업 인증 제도 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권도 한국판 뉴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KB금융그룹은 2025년까지 9조원 규모의 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내세웠다.

증권업계도 ESG 저변 확대에 주목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앞으로 ESG 지수처럼 '뉴딜 지수'가 나올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환경과 디지털에 초점을 맞춘 뉴딜 기업을 중심으로 지수가 만들어지면 투자 상품도 다양하게 나올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다만, 뉴딜 지수를 만들더라도 실제로 투자나 운용에서 자산 편입을 할 수 있어야 하는 만큼 아직 본격화되지는 않은 상태다.

그린뉴딜 정책에 부합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나 ETF 등도 출시될 수 있다.

앞서 대통령이 가입한 '필승코리아 펀드'처럼 새로운 주력 펀드가 나올 가능성도 열려있다.

증권사들은 비대면, 디지털을 내세운 조직 개편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지난 23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transformation) 비전 선포식'을 열고 회사 차원에서 적극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그린뉴딜 지원을 위한 한국 자본시장의 과제' 보고서에서 "한국판 그린뉴딜 성공을 위해서는 글로벌 IB들의 그린 뉴딜 대응전략을 참고해 중장기 사업목표에 기후변화 대응, 그린 인프라 확대, 신재생 에너지 전환 목표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그린 본드 발행, 발행 주선 업무도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 연구위원은 "기후변화 대응 및 신재생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지수를 개발하고, ETF 등 투자상품 공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부동산 위주인 리츠(Reits) 편입 자산에 그린 인프라 등을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환경(E)과 관련한 평가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갖추고, 관련 리서치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거래소는 올해 1월부터 별도의 ESG팀을 신설했다. 지배구조 보고서 시행 첫해를 맞아 관련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거래소는 또 6월부터 사회책임투자(SRI) 채권전용 공적 종합포털을 열었다. 이 포털은 녹색채권과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ESG채권, Thematic채권, 사회공헌채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ESG 정보 공시에 대한 부분도 현안 중 하나다. 현재 G(지배구조)에 해당하는 지배구조보고서 중심으로 돼 있는 ESG 기업의 정보 공시에서 앞으로는 E(환경), S(사회책임경영)에 대한 부분도 보완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ESG는 이미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고 있고, 환경 보호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분은 앞으로도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이슈"라며 "ESG 기업에 자본시장의 자금이 유입되는 선순환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syju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0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