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최근 금융당국이 파생결합증권(ELS·DLS)에 대한 규제를 도입하면서 보유 자본 규모별로 증권사간 차이가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증시 전문가들은 4일 파생결합증권 발행시장에서 레버리지와 유동성 규제 강화로 대형 증권사와 중소형사의 양극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자기자본이 큰 대형사와 유동자산이 많은 발행사일수록 레버리지비율과 유동성 비율에 대해 유리한 상황에 놓일 것"이라며 "건전화 방안이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2022년 전후로 파생결합증권 발행시장은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 연구원은 또한 "투자자 입장에서도 대안상품이 나타나지 않으면 중수익 상품에 대한 희소성이 높아져 이를 선도하는 발행사에 투자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당국은 지난달 '파생결합증권시장 건전화 방안'을 발표하며 증권사 유동성 비율 제도 개선, 증권사 자체 리스크관리 역량 강화, 레버리지비율 규제 등을 도입했다.

그중 유동성 비율 제도 개선을 통해 일반 증권사도 종합금융투자사업자와 동일한 원화 유동성 규제를 받게 됐다.

기존 일반 증권사는 ELS와 DLS를 발행해도 직접적인 유동성 비율 규제에서는 제외됐지만, 규제 이후 모든 증권사가 잔존만기 1~3개월 원화 유동성 비율을 100% 이상 유지해야 한다.

이에 증권사별 유동성 여력에 따라 향후 파생결합증권 발행시장에서의 행보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란 설명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유동성 비율은 미래에셋대우 120.84%, NH투자증권 140.24%, 삼성증권 129.06% 등을 기록했다.

한국투자증권 117.57%, 키움증권 115.13%, 교보증권 105.1% 등은 주요 증권사 중 상대적으로 유동성 여력이 낮은 모습을 보였다.

김민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동성 규제 강화로 증권사별 리스크관리 정책에 따라 유동성 비율이 더욱 차별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ELS·DLS 발행 유인과 관련 수익 창출 기회가 단기적으로는 감소할 것"이라며 "다만, 이를 통해 증권사 유동성 위험과 건전성 저하 우려가 통제되며 중장기적으로는 파생결합증권 시장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2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