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서영태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회계상 지급불능(Accounting Insolvency) 상태에 빠지면 앞으로 위기 대응능력이 나빠질 것이란 시나리오가 나왔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위기에 대응하며 대거 사들인 자산의 부실로 재무 상태가 악화할 경우 정치권이 연준에 족쇄를 채울 수 있다는 예상이다.

3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웰스파고은행의 제이 브라이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중앙은행의 기술적 지급불능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진 않겠지만, 마이너스(-) 순자산은 연준에 상당한 정치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술적 지급불능이란 대차대조표상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상황을 뜻하며 회계상 지급불능이라고도 표현한다. 채무를 갚지 못하는 일반적인 지급불능과는 다른 개념이다.

연준이 코로나 경제 위기에 대응해 회사채·지방채 매입 등으로 자산을 늘린 가운데 경제주체의 디폴트(채무불이행)가 발행하면 연준 자산이 부채보다 적어지고 순자산이 감소할 수 있다는 논리다.

이처럼 연준이 전례 없는 경기 부양책으로 회계상 지급불능에 처하면 의회가 연준의 대응이 지나쳤다고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연준의 위기 대응 방안에 대한 논쟁이 불붙으면 다음번 경제 위기 때 연준의 보폭이 좁아질 가능성이 있다.

연준이 정치권의 눈치를 보며 이번처럼 시장을 떠받치지 못하면 결국 투자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

ytseo@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3시 0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