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P2P(개인간거래)업계의 제도권 진입을 앞둔 가운데 기존 여신업무를 취급해오던 금융사와 금융채시장에도 일부 영향을 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27일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이 시행되면서 P2P업계가 제도권 안으로 들어올 예정이다.

증권사와 여신전문금융회사, 사모펀드 등 금융사의 P2P금융 투자가 가능해지고, 투자자별 최대 투자한도는 5천만원으로 확대된다.

감독기관의 검사를 받으면서 허위 공시나 투자금 횡령 등 문제로부터 투자자 보호 또한 강화된다.

이에 따라 P2P업계의 성장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한국P2P금융협회의 공시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P2P 누적 대출금액은 7조1천717억원으로 4년 만에 47배 이상 확대했다.

시중은행의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 문턱과 주택담보대출 관련 규제에서 제외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대출 수요가 늘었다는 점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P2P사업은 기존 금융사들의 여신업무와 중첩되는 만큼 이번 P2P업계의 제도권 진입은 금융채시장에도 다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된다.

특히 중금리대출 상품을 취급하던 카드사나 캐피탈사와는 경쟁이 심화할 전망이다.

대출 이용자 감소는 향후 여전채 발행 축소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이다.

시중은행의 경우 현재 리스크 관리를 위해 중금리대출 비중을 줄이는 추세에 있는 만큼 은행채시장에 미칠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관측됐다.

오히려 중금리대출 이용자가 늘어나고 관련 시장이 커진다면 기존 은행권에 새 먹거리가 생긴다는 측면에서 자금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화진 현대차증권 크레디트 애널리스트는 "시장이 같지는 않지만, 카드사나 캐피탈사와 같이 개인에게 대출 업무를 하던 곳의 파이를 빼앗게 된다면 채권 발행에도 일부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민정 한화투자증권 크레디트 애널리스트는 "카드사와 캐피탈사, 저축은행 등은 중금리대출을 취급할 것이고 관련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진다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중금리대출 시장이 커진다면 은행이 뛰어들 수도 있겠지만 너무 확대 해석하면 안 된다"며 "대출이 얼마나 늘어야 은행채로 조달하는 게 합당한지 판단할 것이기 때문에 당장 은행채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mjlee@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1시 2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