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간주 노동인구당 가장 많이 받아

주당 300달러로 지원 때 5~6주내 고갈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미국 연방 정부가 4월부터 시행된 주당 600달러(약 70만원)의 추가 실업보험 수당에 2천500억달러(약 296조6천억원) 가까운 자금을 소진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3월 의회를 통과한 경기 부양 패키지 법안(CARES act)을 통해 일자리를 영구히 잃은 실업자는 물론 일시 휴직자, 근무 시간이 삭감된 근로자 등은 추가 실업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7월 31일에 종료됐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주당 300달러는 연방 정부에서 계속 지급하고, 주당 100달러는 주 정부에서 지급하는 방식으로 전환됐다.

저널이 미 노동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간 총 2천500억달러에 가까운 자금이 소진됐다.

가장 많은 자금이 나간 시점은 6월 26일로 끝난 주간으로 186억달러(약 22조원)가 사용됐다. 이는 해당 주에 3천100만명에게 주당 600달러의 자금이 지급됐다는 의미다. 다만 여기에는 밀린 수당이 지급된 경우도 있다.

캘리포니아주가 4개월간 384억달러로 가장 많은 돈을 지원받았으며, 사우스다코타가 1억7천710만달러로 가장 적은 돈을 지급받았다. 이는 캘리포니아주가 그만큼 노동인구가 많기 때문이며 코로나로 인해 타격이 컸음을 시사한다.

팬데믹 이전인 2020년 2월 기준 노동인구를 고려해 실업수당이 가장 많이 지급된 지역은 미시간주로 1천명의 근로자당 290만달러가 지급됐다.

다음으로 뉴욕, 펜실베이니아가 뒤를 이었다.

연방정부는 전국적으로 1천명의 근로자당 150만달러를 지급했다.

미시간주는 지난 3월과 4월에 실업보험 수당을 가장 많이 신청한 주 중에 하나다. 자동차 공장이 밀집해 있어 코로나에 따른 경제 봉쇄로 공장이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늘어난 실업보험 수당이 일자리를 잃은 가계를 지원해 경제를 떠받치는 데 일조했다고 주장한다.

역사적으로 높은 실업률에도 불구하고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6월 가계 소득은 팬데믹 이전인 2월보다 높았다. 이는 실업보험 수당의 증가가 급여 감소분을 상쇄하고도 남았다는 얘기다.

일부 공화당 의원들과 보수적 경제학자들은 실업수당이 늘어나면서 일을 할 때보다 더 많은 소득이 발생해 근로자들의 일터 복귀 의욕을 꺾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일대 이코노미스트들이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월급보다 더 많은 실업수당을 받는다고 해서 일자리 제안을 더 많이 거부하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미 기업연구소의 마이클 스트레인 이코노미스트는 민주당이 요구하는 대로 내년까지 주당 600달러의 추가 실업수당이 주어질 경우 미국인들의 일터 복귀를 지연시킬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람들이 이전에 벌었던 것보다 더 많은 실업수당을 지급한다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라며 "그렇게 할 경우 실업률은 그렇지 않았을 경우보다 높은 상태로 더 오래 지속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진보주의 성향의 싱크탱크 워싱턴공정성장센터(WCEG)의 알릭스 굴드-워스는 주당 600달러의 실업수당이 가계 소비를 떠받치는 데 일조했다며 이를 300달러나 400달러로 줄일 경우 효과가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300~400달러의 추가 수당도 9월에나 시행될 수 있으며 수당의 재원도 5주안에 고갈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연방 정부는 7월 마지막 4주 동안 600달러의 추가 실업수당에 주당 평균 166억달러를 사용했다.

이를 절반으로 줄일 경우 주당 83억달러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시한 주당 300달러의 추가 실업수당은 연방정부의 재난구제기금을 활용한 것이다.

저널은 트럼프 대통령이 할당한 자금은 440억달러로 이는 6주도 안 돼 모두 소진될 규모라고 지적했다.

굴드-워스는 "수당의 감소는 근로자, 특히 저임금 근로자와 육체 근로자들에게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ys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0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