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외국인의 국채선물 대량 매도 추세를 두고 우리나라 정부의 신용등급 전망 하향 가능성이 반영된 것일 수 있다는 의견이 채권시장에서 제기됐다.

4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26일부터 전일까지 10년 국채선물을 약 3만4천계약 순매도했다. 이 기간 3년 국채선물도 9만8천계약 팔았다.

매도세가 워낙 가파르다 보니, 이들 거래에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추정이 나온다. 다만 외국인 주체는 여럿이고, 트레이딩 목적도 저마다 다른 만큼 요인을 꼽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최근 제기된 가설은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우리나라 정부의 신용등급 전망을 낮출 가능성이다.

피치는 지난 2월 한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이 2023년까지 46%까지 증가할 경우 중기적으로 국가 신용등급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국가채무 비율은 46.7%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피치가 언급한 수치에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도달하는 셈이다. 정부는 이날부터 이틀간 피치와 연례협의를 앞두고 있다.

증권사의 한 채권 운용역은 "외국인이 이 정도로 장기간 매도 추세를 형성한 것은 드문 일이다"며 "신용등급 전망 하향 가능성을 봤다고 하면 이러한 추이가 설명된다"고 말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피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부채비율이 치솟는 상황을 고려할 것이다"며 "전에 언급한 수치를 기계적으로 적용할 것 같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채권시장 참가자 대다수의 견해는 아니다. 대부분은 외국인의 매도 배경으로 통화정책 완화 기대 소멸을 꼽고 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앞둔 상황이 아닌데도 현재와 같이 대규모 외국인 선물 매도와 금리 급등이 나타난 경우는 2003년 7월, 2009년 6월, 2013년 5월, 2019년 10월 4번 정도"라며 "모두 마지막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전후로 추가 인하 기대가 소멸하면서 외국인 매도가 촉발됐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진단했다.

허태오 삼성선물 연구원은 "전 세계 채권선물이 상장돼 외국인이 제약 없이 거래 가능한 나라는 총 10개국"이라며 "이중 비전통적인 수단을 도입하지 않은 나라는 한국뿐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리 반등 국면에 이를 제어할 수단의 풍부함과 제약적인 여건의 차이는 금리 움직임이 차별화하는 구간에서 도드라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hwr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5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