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대규모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태로 펀드의 인기가 사그라든 가운데 정부가 인프라형 공모펀드인 '뉴딜펀드'를 내세우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역대 정권에서 추진했던 '녹색펀드'와 '통일펀드'를 연상시킨다는 지적과 함께 '대통령이 가입하는 상품'은 적어도 손해를 보지 않는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 뉴딜펀드는 인프라 펀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최근 3년간 국내 인프라펀드 평균 수익률은 6.10%, 5년 평균 국내 인프라펀드 수익률은 5.95%로 집계됐다.

국민연금의 인프라펀드 수익률 역시 2018년 9.41%, 2019년에는 6.15%로 양호한 편이다.

대통령이 나서서 펀드에 가입하는 일은 처음은 아니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당시 국무총리, 서울시장 등과 함께 현대투신에서 '경제살리기 주식1호'펀드에 직접 가입했다. 이후에도 역대 정권별로 수많은 펀드가 주목을 받았다 사라졌다.

하지만 역대 정권이 내세운 펀드의 경우 정권의 부침에 따라 수익률이 왔다갔다하기 일쑤였다. 이명박 정부 때는 녹색펀드가 주목받았지만 초반의 수익률과 달리 손실을 냈다. 박근혜 정부 때는 통일대박론에 따른 '통일 펀드'와 '청년희망펀드'가 도입됐지만 이 역시 정권이 바뀌자 흐지부지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 녹색펀드 등의 펀드 성과가 부진했지만 최근 소부장 펀드의 수익률이 워낙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뉴딜펀드 역시 수익률이 나쁘지 않을 것"이라며 "펀드라는 용어에 대한 거부감이 있지만, 대부분의 뉴딜펀드는 인프라형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펀드"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프라펀드의 경우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형태로, 정부가 손실의 일부를 구제하고, 이익은 민간, 정부가 나눠 갖는 구조"라며 "뉴딜펀드의 경우 2억원까지 분리과세해주는 세제혜택이 있어 상당히 매력적"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뉴딜지수에 따른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신규 투자하는 일은 지금으로서는 조심스러운 일이라고 봤다.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뉴딜지수에 기반한 ETF를 살 수 있는데 이 경우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대형주 위주의 40~50개 종목 지수에 투자하는데다 그린, 바이오 관련 주식이 많이 오른 상태"라고 말했다.

syju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4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