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지난 10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의 청년실업률이 떨어진 반면에 우리나라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OECD 국가의 청년(15~29세)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OECD 평균 청년 실업률은 2009년 14.9%에서 2019년 10.5%로 4.4%포인트(p) 하락했다.

이와 달리 같은 기간 한국은 8.0%에서 8.9%로 0.9%p 상승했다.

한국과 함께 청년실업률이 오른 국가는 그리스, 이탈리아, 터키,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등에 불과했다.

특히 한국보다 실업률 증가 폭이 큰 국가는 재정 위기를 겪은 그리스(10.1%p)와 이탈리아(4.0%p)뿐이었다.

청년 실업자가 늘면서 한국 청년실업률 순위도 OECD 37개국 가운데 10년 전 5위에서 지난해 20위로 밀렸다.

같은 기간 일본의 실업률은 3.6%로 4.4%p 개선돼 1위를 차지했고 독일은 4.9%로 5.3%p 낮아져 2위에 올랐다.







한국의 경우 청년 인구 감소보다 일자리 감소 속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청년경제활동인구는 지난해 433만1천명으로 10년 전보다 0.2% 감소했지만, 청년실업자는 10.6% 증가했다.

반면에 OECD국가의 평균 청년경제활동인구는 403만9천명으로 3.9% 감소했고, 청년실업자도 30.9% 줄었다.

한경연은 "통상 인구 감소추세에서 일자리 감소 폭이 경제활동인구 감소 폭보다 클 때, 실업자는 증가한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청년층 인구의 감소 폭보다 민간경제의 위축으로 일자리가 더 크게 줄어들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청년경제활동참가율은 2009년 44.2%에서 2019년 47.8%로 3.6%p 증가해 OECD 순위는 35위에서 34위로 1단계 올랐지만, 여전히 최하위 수준이다.

청년고용률도 지난해 43.5%로 2.9%p 증가했지만, OECD 국가 가운데 32위로 2단계 떨어졌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기업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늘어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등을 통해 민간 활력을 제고하는 한편,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노동비용 절감 등으로 기업들의 신규채용 비용을 낮추어주는 것이 청년실업난 해소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yg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