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홍경표 기자 =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무산되면서 그룹 정상화를 꾀했던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했다.

금호산업은 11일 HDC현대산업개발에 계약 해제를 통보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HDC현산과 지난달 최고경영자(CEO) 면담을 하면서 매각 협상을 이어갔고,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정몽규 HDC그룹 회장이 마지막 담판을 벌였으나 결국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M&A) 딜은 무산됐다.

HDC현산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수 환경이 달라졌다며, 12주간의 재실사를 요구를 고수했고, 금호산업과 채권단은 상식을 넘는 과도한 수준이라며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히면서 간극을 좁히지 못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통한 자금확보로 그룹 재건에 나서려고 했으나, 매각이 무산되면서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공격적인 사업 확장이 글로벌 금융위기와 겹치면서 유동성 위기에 빠졌고, 2009년 12월 채권단과 자율협약 절차를 밟은 후 2014년 자율협약을 종료했다.

하지만 여전히 아시아나항공의 재무 안정성은 낮은 상황이었고 지난해 감사보고서 '한정'의견을 받으면서 재차 위기를 맞았다.

채권단은 아시아나항공 정상화를 위해 지난해 1조7천억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했고,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아시아나항공 매각 절차에 돌입해 지난해 12월27일 HDC현산과 아시아나항공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HDC현산은 인수금액 2조5천억원 중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할 약 2조원을 아시아나항공에 쏟아부어 부채비율을 300%까지 낮출 계획이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산업이 보유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 주식 30.77%를 매각하면서 그룹 재건을 위한 현금을 확보하려고 했으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

채권단은 대주주인 금호산업에 아시아나항공 부실 책임을 물어 금호산업 지분에 대한 완전 무상감자 또는 100대1 감자를 통한 자본확충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금호산업은 지분 매각을 통한 3천억원가량의 자금 유입 기회를 날리는 동시에, 아시아나항공 지배권도 잃게 되면서 장부가 기준 3천35억원의 아시아나항공 지분을 손실 처리하게 된다.

금호산업은 건설경기 회복에 올해 2분기 182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아직은 견조한 모습을 보이나,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지주회사 역할을 하는 금호고속의 유동성은 악화하고 있다.

박 전 회장과 특수관계인이 72.1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금호고속은 금호산업 지분을 약 44.56%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인데, 채권단은 금호산업 지분을 담보로 1천300억원을 지난해 대출해줬고 내년 1월까지 만기 상환이 불투명해져 현금 확보가 필수적이다.

금호고속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말 219억원으로 2018년 말 318억원에서 100억원가량 감소했으며, 단기차입금은 약 2천850억원에 달한다.

금호고속은 만성적인 자금 부족 현상에 시달리고 있으며, 아시아나항공 기내식 사업부를 활용한 금호고속 지원, 계열사를 통한 금호고속 저금리 대출 등으로 공정위에서 과징금 제재를 받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채권단이 금호산업 지분 담보 대출 만기 연장 등을 통한 추가 지원을 해줄 가능성이 높다고 보나, 금호고속이 자구책을 통해 현금 확보를 하지 못하고 재무 구조가 악화하면 금호고속의 금호산업 지분이 넘어가면서 금호산업마저 채권단 관리에 들어갈 수 있다.

이에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매각 무산에 대비해 별도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자금 운용 계획 수정과 자금 조달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고속이 보유하고 있는 광주 유스퀘어(광주종합터미널) 매각을 포함해 목포와 여수, 순천 등 10여개 터미널 매각, 버스를 담보로 한 자금 조달 등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스퀘어의 장부금액은 4천623억원으로 이미 금호고속이 SC제일은행으로부터 유스퀘어를 담보로 1천541억원을 차입했고, 광주신세계가 보증금 5천270억원을 지급하고 장기 임차 중이어서 개발 후 매각이 이뤄져야 실질적으로 현금을 쥘 것으로 전망된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아시아나항공 매각 무산 전 공정위로부터 부당 내부 거래 혐의로 과징금 부과와 검찰 고발이라는 '철퇴'를 맞아 이중고를 겪게 됐다.

공정위는 지난달 금호아시아나그룹이 그룹 재건 과정에서 주력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의 기내식 사업권을 매개로 금호고속을 부당 지원했다고 보고 금호산업 152억원, 금호고속 85억원, 아시아나항공 82억원 등 총 32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또 박 전 회장과 당시 그룹 전략경영실 임원 2명, 금호산업, 아시아나항공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그룹 전체의 동반 부실화 우려가 있는데도 그룹 재건과 경영권 회복을 목적으로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이 높고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금호고속으로 계열사 가용자원을 이용, 무리하게 지배력을 확장했다는 것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아시아나항공 기내식 업체 변경이 전략적 제휴를 통한 정상적 경영판단이었다고 반박했으나, 대규모 과징금과 경영진의 검찰 조사가 현실화하면 그룹 정상화에 또 다른 악재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kph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7시 5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