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하면서 고용 문제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고민거리로 떠올랐다.

통계청의 최근 고용 동향에서도 구직활동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업률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18일 통계청에 지난 8월 실업률은 3.1%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취업자가 27만7천 명 줄어든 것에 비해 실업률의 상승폭은 소폭에 머물렀다.

실업률의 선방은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존 직장에서 나온 실직자들이 구직활동을 포기해 경제활동인구에서 비경제활동인구로 이동한 것이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의 비율로,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 실직자들은 실업률에 반영되지 않는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86만4천 명으로 전년 대비 53만4천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올해 3월 이후 전년 대비 증가폭이 50만 명을 상회하고 있다.

통계청의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주로 대면서비스 업종에서 취업자가 감소하는데, 대면서비스는 구직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구직을 하지 않고 비경제활동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경향이 있어 실업률도 많이 오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고용 문제는 금리를 결정하는 한은 금통위에서도 주요 고려사항으로 떠올랐다.

최근 공개된 한은의 제19차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코로나19 재확산은 노동수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번 코로나 사태는 중·저숙련 대면서비스업의 침체를 현실화시키면서 일자리 구조와 소득분배 구조의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서비스업의 고용 감소는 코로나19가 끝난 이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의사록의 한 금통위원은 또 "최근 서비스업 등에서 고용을 줄이는 대신 자동주문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의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며 구조적 변화로 고용의 경직성이 높아져 향후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더라도 고용 회복이 제약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와 사회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고용 문제는 점차 글로벌 중앙은행도 외면할 수 없는 문제가 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최근 평균물가목표제(AIT)를 도입했는데 이는 연준의 목표치를 상회하는 물가상승률을 용인하겠다는 의미다. 연준은 AIT 채택으로 통화정책의 또 다른 목표인 완전고용 달성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지난 8월 잭슨홀 연설에서 "통화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우리는 모든 미국인의 이득을 위해 최대한으로 강력한 노동 시장을 육성하는데 매우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고용이 통화정책의 직접 목표로 거론될 만한 상황은 아니다. 다만 고용 환경의 변화에 대한 금통위원들의 고민은 이어질 전망이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고용에 대한 얘기가 많다"며 "금통위원들이 코로나19 사태로 구조적으로 전환되는 고용 상황에 대해 우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다만 고용을 중앙은행의 목표로 넣는 문제는 쉽게 바꿀 수 없다"며 "크게 예상되는 부분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9시 4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