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정우 기자 =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 이후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 업계 성장세도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에 공매도가 일시 중단된 점도 PBS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1년 새 PBS업계 운용자산 수탁고(AUM)는 4조원가량 줄었다.

지난해 9월 기준 35조원을 넘었건 AUM은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 5월 30조3천억원까지 떨어졌다.

7월 AUM이 소폭 증가세로 돌아서며 31조2천억원으로 확대됐지만 성장세가 주춤하며 지난 14일 기준 AUM은 31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1년새 AUM 감소세가 가장 뚜렷한 곳은 미래에셋대우였다.

미래에셋대우 PBS AUM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8조7천억원으로 PBS 업계 선두 자리를 지켰지만 이후 가파른 감소세를 보이며 삼성증권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올해 9월 기준 미래에셋대우 AUM은 6조8천억원으로 7조3천억원을 기록한 삼성증권에 약 5천억원 뒤처진 상황이다.

지난해 9월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중단 사태 이후 옵티머스자산운용과 젠투파트너스 펀드 등 연이은 환매 연기로 PBS 영업환경도 악화했다.

펀드 관리 및 판매에 대한 책임 소지가 일면서 수탁사와 판매사들도 사모 펀드 신규 계약을 꺼리는 분위기다.

PBS의 펀드 관리 의무가 강해진 점도 헤지펀드를 포함한 사모 투자상품의 신규 설정을 제약하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4월 사모펀드 제도개선 방안 중 하나로 PBS가 운용상 위법 부당행위에 대한 감시기능을 수행하게 했다.

또한, 사모펀드에 제공한 레버리지(TRS 포함) 수준을 평가하고 리스크 수준을 관리해야 한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증권사 PBS는 사모운용사로부터 서비스 계약을 유치해야만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구조"라며 "이런 상황에서 운용사에 대한 감시 의무가 생기면서 자료 제공을 의무화하는 등 권한을 부여하지 않고 형식적인 감시 책임만 떠넘긴다면 실효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

공매도 금지 기간이 연장된 점도 PBS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금융당국은 지난 3월 코로나19 사태로 증시가 급락하자 6개월간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후 코로나19 여파가 지속하자 내년 3월 15일까지로 금지 기간을 연장했다.

PBS는 증권사가 헤지펀드 운용사에 대해 헤지펀드 운용에 필요한 대출, 증권 대여, 자문, 리서치 등 종합서비스를 제공한다.

PBS의 주요 업무는 신용제공과 증권 대차거래, 컨설팅 서비스 등이다.

또 다른 증권업계 관계자는 "운용사의 부실 운용 사건 등이 터지며 펀드 자금 이탈이 가속화됐으며 자연히 PBS 수요도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며 "펀드 관리 의무와 공매도 금지 조치 등에 PBS 업계가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jwchoi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