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수소경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그린수소 생산과 공급 인프라 관련 기술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앞으로 다가올 수소경제의 미래 : 주요국 정책 동향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수소경제를 통해 2050년 연간 2조5천억 달러(3천조원) 규모의 수소 및 관련 장비 시장과 3천만개 이상의 누적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독일·일본·중국 등 세계 주요국들이 미래 유망산업으로 수소경제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그린수소 생산단가 하락, 주요국 정부의 수소경제 투자 확대, 상용차의 수소 모빌리티 선도, 발전 및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 확대 등으로 인해 수소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은 2024년까지 6GW 수전해 설비를 구축해 연간 100만t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2030년까지 1000만t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일본은 수소의 해외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호주, 브루나이 등에서 수소를 저렴하게 생산한 뒤 이를 다시 수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한국의 경우 모빌리티와 발전용 연료전지 등 수소 활용 측면에서는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수소 생산 및 공급 인프라는 뒤처져 있다.

무협은 그린수소 관련 원천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그린수소 생산량 증대와 생산단가 절감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석유화학이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수소를 액상 암모니아 화합물로 변환할 경우 기존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유리하다.

정귀일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수소경제 수출산업화는 '규모의 경제 달성→제품 가격 인하→시장 확대'의 선순환 구조 확립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수출산업화를 위해서는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핵심 기술의 국내 개발과 부품의 독자 생산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yg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