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이르면 내년부터 신한금융지주[055550] 주주들도 삼성전자처럼 일 년에 네 번 배당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매년 늘어나는 이익에도 저평가를 벗어나지 못했던 국내 금융지주가 적극적인 주주환원에 나서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최근 1조2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한 신한금융은 앞으로 분기배당을 실행하겠다는 뜻을 금융감독원에 전달했다.

신한금융 이사회는 이달 초 진행한 워크숍에서도 이런 주주환원책을 논의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종식된 이후 주주환원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배당의 방식보단 추이와 시기가 문제다. 충분한 충당금과 내부 유보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분기배당을 위해서는 정관 변경이 필요하다. 정관상 중간배당만 가능하도록 명시한 신한금융은 내년 3월 예정된 주주총회를 목표로 정관 변경작업을 진행 중이다.

분기배당을 한다고 해서 연간 배당금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결산배당으로 한꺼번에 지급해 온 배당금을 나눠 지급하는 의미가 더 강하다.

하지만 일시배당으로 왜곡돼온 수급이 개선된다는 측면에선 의미가 크다. 주주 입장에선 배당금을 재투자한다는 가정 하엔 복리의 효과도 누릴 수 있다.

그간 국내 금융지주는 하나금융지주를 제외하곤 결산배당만 해왔다.

KB금융은 정관상(60조)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9월 말일을 기준일로 분기배당이 가능하지만, 설립이래 결산배당만 이어왔다.

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는 정관에 중간배당 조항이 있지만 이를 시행한 것은 하나금융뿐이다.
 

 

 

 


하지만 하나금융은 매번 적잖은 시선을 감당해야 했다. 코로나19 상황이 겹친 올해는 금융당국의 배당 자제 권고가 더해져 주주와의 약속을 우선하는 결정을 내리기까지 장고를 거듭하기도 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4대 금융지주의 배당성향은 26%, 배당수익률은 5% 안팎이다. 정부가 일부 지분을 보유한 우리금융의 배당성향과 수익률이 다른 금융지주를 근소한 차이로 앞선다.

이들 금융지주는 중장기적으로 30%까지 배당성향을 끌어올리기로 내부 목표를 설정한 상태다. 실제로 배당성향은 지난 2017년 이후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은행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다.

호주의 대표은행인 커먼웰스와 웨스트팩의 배당성향은 80%가 넘는다. 은행이 버는 수익을 국민과 주주에게 돌려준다는 경영철학 때문이다. 그밖에 일본의 미쓰비시UFJ는 60%, 싱가포르 DBS와 미국의 웰스파고는 50%, JP모건도 30% 넘는 배당성향을 자랑한다.

시장에서는 금융지주의 분기·중간배당이 활성화한다면 단순한 주가 부양을 넘어 국내 증시로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리나라는 배당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2004년 4월에 분기배당 제도를 도입했다. 이전에는 주총 결의를 거치는 결산배당과 연간 배당가능이익을 고려해 사업연도 중 1회에 한해 이사회 결의로 결정하는 중간배당만 가능했다.

당시 분기배당은 이익을 수시로 주주에게 배분해 배당 투자 수요를 늘린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분기배당이 가능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평가가 시장에서 진행됨에 따라 주주 중심의 경영문화가 안착할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하지만 유가증권시장에서 최근 3년간 분기배당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종목은 삼성전자[005930]와 포스코[005490], 쌍용양회공업[003410], 한온시스템[018880] 등 4종목뿐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미국 상장사는 분기가 아닌 월 배당도 흔한 일"이라며 "이 경우 결산배당보다 배당락 영향도 적어 개별종목뿐만 아니라 산업군, 증시 전체의 유동성 관리에 도움이 된다. 주주는 물론 자국의 시장에 큰 도움"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금융당국이 해외사례를 들어 배당금 자제 요청을 하고 있지만, 국내 은행의 자본비율은 글로벌 은행에 비해 높다"며 "외국인은 규제 리스크를 이유로 이익 체력이 좋은 국내 금융주를 기피한다. 배당 활성화는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5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