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이종욱 기획재정부 국고국장이 국고채의 연물별 발행비중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20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획재정부와 연합인포맥스의 공동 주최로 열린 '제7회 Korea Treasury Bonds 국제 콘퍼런스'에서 국채 시장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하며 "시장 수급 등을 고려해 연물별 발행 비중을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재부는 내년부터 국고채 2년물의 매월 정례 발행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 3·5·10·20·30·50년물로 구성된 국고채 만기 구성에 변화가 불가피하고, 연물별 발행 비중에도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올해 만기 그룹별 발행 비중 목표는 단기 40±5%, 중기 25±5%, 장기 35±5%다.

이 국장은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 복지지출 증가 및 재정 역할의 확대로 국고채 발행량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며 "증가하는 국고채 발행량의 원활한 소화를 위한 수요기반 확보가 핵심과제"라고 말했다.

내년 국고채 발행한도는 172조9천억 원으로 1~4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포함한 올해 174조5천억원과 비슷한 규모다.

국고채 발행 규모는 작년 월 평균 8조5천억 원 이었지만 올해는 1~9월간 월 평균이 15조1천억 원으로 작년 대비 77.6% 급등했다.

기재부는 국채시장 역량강화를 위해 국고채 라인업 정비 이외에 긴급 조기상환 및 국고채 교환 제도를 신설하고 국고채전문딜러(PD) 제도 개선과 글로벌채권지수(WGBI) 가입 여부 사전검토, 개인 국채 투자상품 도입 등을 추진한다.

물가채 발행방식을 경쟁입찰 방식으로 변경하고, 초장기물에 대한 헤지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30년 국채선물 도입도 중장기 과제로 검토한다.

국채 관련 통계와 정보를 단일 시스템에 집중하는 국채관리 시스템도 만들고, 중장기적으로 국채연구센터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 국장은 "국채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지표채권으로서 국채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하고 있다"며 "대내외 충격에도 금리와 거래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국고채 시장의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