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일부 은행의 고객 중에서 위험 선호 투자자 비율이 80%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고위험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일부러 고객의 투자성향을 위험 선호로 유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은행별 펀드 위험 성향 분석자료'에 따르면 국내 은행 16곳 중 6곳의 위험 선호 투자자 비율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80%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개 은행에서는 이 비율이 90%를 넘었다.

올해 고객의 97%를 위험 선호로 분류한 A은행은 이전 5년(2015년 97.2%, 2016년 97.2%, 2017년 99.3%, 2018년 99.2%, 2019년 93.1%) 동안 절대 다수고객의 투자성향이 위험 선호였다.

위험 선호 투자자 비율은 새로 펀드에 투자한 고객 중 원금 손실을 감수하는 등의 위험을 선호한다고 답한 고객의 비중을 뜻한다.

김병욱 의원은 안정 성향이 강한 고객이 많이 찾는 은행에서 위험 선호 투자자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은 은행이 애초부터 고위험상품을 자유롭게 팔기 위해 일부러 고객의 투자성향을 최대한 위험 선호로 유도한 것이란 의심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현장에서는 고객의 투자성향 분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사실상 각 금융사 자율에 맡겨 두고 있다"며 "투자성향을 판단하는 계산식인 알고리즘을 금융사 마음대로 정할 수 있어 고객에게 묻는 말의 비중을 조절하는 식으로 결과를 바꿀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현재 금감원의 불건전 영업행위 감시기준이 이런 왜곡을 걸러내기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김 의원은 "금감원은 불건전 영업행위를 잡아내는 지표로 '부적합상품 판매율(안전지향 고객에게 고위험상품을 판매한 비중)'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애초 위험 선호로 분류된 고객 비중이 높을 경우, 부적합상품 판매율이 낮게 나와 오히려 건전 영업처럼 보인다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부적합상품을 파는 은행도 문제지만, 애초 고객을 위험 선호로 분류해 놓고 고위험상품을 팔고 있다면 투자자 성향 분류 단계부터 감독당국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며 "은행별 투자자 성향분석 알고리즘 점검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jhson1@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0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