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인포맥스) 곽세연 특파원 =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이 계속해서 미 의회가 경제를 더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연준이 경제에 도움을 줄 방법이 바닥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CNBC가 28일 진단했다.

지난 3월 미 의회를 통과한 2조2천억 달러의 경기부양 패키지법(CARES Act)의 핵심 조항이 만료되면서 연준이 다시 경제의 핵심 지원 주체로 떠올랐다. 연준은 대출과 시장 부양 프로그램을 계속 내놓으면서 엄청나게 완화적인 정책을 유지했고, 수년 동안 단기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연준 위원들은 통화정책 탄약이 고갈됐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그 반대를 주장하겠지만, 연준의 무기는 거의 남아있지 않은 것 같다는 진단이 나온다.

무디스 애널리스틱의 마크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에 남아 있는 것은 미미하다"며 "통화 정책과 관련해 할 수 있는 여지가 별로 없고, 무엇을 더 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은 도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재정 정책 입안자들에게 더 많은 일을 하라고 그렇게 노골적으로 말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다른 위원들은 의회가 더 많은 지원을 해야 한다고 부추기는 공개 발언 기회를 거의 빠지지 않고 했다.

10월 초 파월 의장은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연설에서 "추가 지원 자금을 연기하면 약한 회복, 가계와 기업에 불필요한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며 "더 큰 위험은 낮은 수준의 재정 지원이며 현재로서는 과도한 재정 지원의 위험은 작아 보인다"고 말했다.

같은 달 라엘 브레이너드 이사 역시 "의회의 통과 실패가 경제 전망에 가장 중대한 하방 위험"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선에서 이길 경우 차기 재무장관으로 유력시되고 있다.

연준 위원들이 재정 정책에 관해 목소리를 내는 일이 없지는 않지만, 흔한 일이 아니다.

지난 3월 혼란 이후 시장이 순조롭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한 연준의 유동성 프로그램 등 정책 선택권은 여전히 있다.

금융 스트레스의 전형적 신호인 국채수익률 확대가 시작되면 연준은 채권 매입을 통한 수익률 곡선 제어를 채택할 수 있다. 또 채권 매입 속도를 높이고, 금리 인상을 위해 어떤 조치를 할지 가이드라인을 더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도구들의 효과가 상당히 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채수익률은 이미 역사적 저점에 있고, 연준 위원 자신도 수익률 곡선 통제의 영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이 때문에 연준이 재정 지원 확대를 간곡하게 요청하는 것은 선택권이 얼마나 제한적인지를 보여주는 증거로 볼 수 있다.

잔디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에는 게임체인저가 없다"며 "연준이 단기적으로 경제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큰일은 없다"고 주장했다.

연준의 가장 큰 현재 무기이자 앞서 채택한 평균물가목표제의 영향도 한계가 있다.

이미 모든 사람이 연준이 몇 년 동안 유지할 것으로 상당히 기대하고 있어 투자자들이 불안해하고 경제가 흔들리기 시작할 때 이런 기조는 별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에버코어 ISI의 크리슈나 구하 글로벌 정책·중앙은행 전략 대표는 "사실 평균물가제 접근은 경제가 약할 때보다 강해질 때 더 큰 영향을 미친다"며 "이번 가이던스는 현 경제 여건보다 경제가 더 깊은 확장 영역으로 가는 등의 긍정적인 상황에서 더 강력한 영향을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더 중요한 것은 인플레이션 목표 자체의 효과는 재정 협력이 없다면 훨씬 낮을 것"이라며 "연준은 최악의 피해를 본 부분을 선별적으로 도울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sykwa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21시 2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