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정부는 30일 발표한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에서 수출 호조인 전기·수소차를 주력 수출상품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차전지 등 핵심 부품 역시 새로운 수출상품으로 육성하고 선박, 철도, 플라잉카(UAM·PAV) 등에서도 친환경 제품을 수출 상품화하기로 했다.

◇ 수출 느는 전기·수소차, 수출 동력으로

올해 들어 지난 9월까지 내연기관차 수출은 29% 감소한 반면 전기차와 수소차 수출은 각각 79%와 46% 증가하며 수출의 버팀목이 됐다.

그 결과 전기차 세계시장 점유율은 작년 5.0%에서 올해 8월 기준 7.2%로 높아졌다.

정부는 이 동력을 살려 유럽, 북미, 아시아 등 타깃 지역의 전기차 마케팅을 강화하고 동남아 등으로는 배터리 리스(임대)를 결합한 수출을 추진하는 방법으로 2025년까지 전기차 46만대, 수소차 7만대를 수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민간은 내년에 출시되는 신차 5종을 비롯해 2025년까지 20종을 출시한다.

정부는 주행거리·충전속도 등 성능개선에 연구개발(R&D)비 총3천856억원을 지원해 2025년까지 주행거리를 50% 늘리고 대용량 배터리를 20분 안에 완충하도록 할 계획이다.

수소차는 북유럽과 북미 등 충전소가 구축된 국가로 상용차를 집중 수출할 방침이다.

이미 스위스로 1천600대가 수출된 수소트럭의 경우 2030년까지 북미와 유럽 등에 6만4천대를 수출한다는 목표다.

중동, 호주 등에는 상용차와 충전소를 함께 파는 패키지 수출을 지원하고 수소연료전지 내구성을 높이는 등 국산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R&D 지원에도 나선다.

◇ 이차전지를 제2의 반도체로 육성

정부는 자동차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이차전지 수주량과 기술 수준 모두 세계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로 2025년까지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을 350Wh/㎏까지 고도화하고 비행체에 쓰이는 리튬-황 배터리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전고체배터리를 상용화하는 등 차세대 배터리도 조기 상용화를 추진한다.

수소연료전지는 해외 완성차업체나 발전(發電)사업자 등으로 수출처를 다변화하고 올해 70%인 핵심소재 국산화율을 2025년까지 94%로 높인다.

차량용 반도체, 자율주행 부품, 도로 인프라 등 미래차 부품기술을 선점하고 대형모터, 초고속 베어링 등 14대 핵심부품을 국산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친환경 기술 육해공 전 분야로 확대해 수출상품화

정부는 자동차 외에 선박, 철도, 건설기계, 플라잉카 등도 친환경 기술 실증에 속도를 내 새로운 수출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

선박은 2025년까지 수소연안선박 개발을 끝내고 2030년께 국제운행선박에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철도 분야에서는 2024년에 도심에서 수소트램을 운영하도록 하고 2030년에는 디젤 열차를 수소 열차로 교체한다.

건설기계 부문에서는 수소지게차를 내년까지 실증해 항만과 건설현장 중심으로 보급하고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개인비행체(PAV) 등은 2025년에 상용화하고 2030년에는 10개 노선서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hj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