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재확산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경제충격은 이전 확산기보다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해외 봉쇄정책이 강화하면 경제충격이 증폭할 수 있어 정책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우영진 국회예산정책처 분석관은 18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해외 봉쇄정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코로나19 확산 초기와 달리 봉쇄정책이 강화되더라도 소매판매가 감소하는 상관관계가 약해지는 양상을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근거로 전세계의 봉쇄정책 강도를 보여주는 엄격성 지수(Stringency Index)와 소매판매 증가율의 상관관계를 제시했다. 3~4월에는 그래프가 우하향하는 모습이 뚜렷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일직선에 가까운 상황이다.

우 분석관은 "온라인 비대면 소비망 구축 등 각국 경제체제의 대응력이 제고된 결과"라며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부의 경제지원책에 따른 소비 증가 효과 등이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봉쇄조치도 올해 3~4월 대비 약해진 편이라고 우 분석관은 부연했다. 주요국들이 봉쇄정책 강화에 따른 경기침체를 우려하고 있고 이전보다 공중보건 역량이 제고된 영향이라고 봤다. 엄격성 지수는 올해 4월 전후에 80을 상회했으나, 현재는 50~60대로 낮아졌다.

지금과 같은 추세면 경제적 충격이 다소 제한될 전망이다. 자칫 봉쇄정책이 경제적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만큼 대응에 주의를 요구했다.

우 분석관은 "코로나19 재확산과 봉쇄정책에 따른 전세계 경제위기 장기화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봉쇄정책의 강도, 비대면 경제체제 구축, 정부의 정책 대응 및 백신 개발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경제충격이 초기 확산기보다 작을 가능성도 있다"며 "최근 백신의 조기 개발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향후 경제주체들의 낙관적 경제전망이 확대될 경우 내수 및 교역 확대로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 시나리오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최근 해외 코로나19 확산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봉쇄정책이 현재보다 강화될 경우 경제충격이 증폭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정책 대응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2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