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요빈 기자 = 이번 주 열리는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통화정책 목표에 고용안정을 추가하는 방안과 관련한 언급이 나올지 주목된다.

국고채 중·단기물 금리가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한 수준까지 올라왔지만, 통화정책에서 고용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면 금리 인상이 어렵다는 인식을 반영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다만 통화정책에 대한 금리 민감도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그 영향력은 제한적일 거란 의견도 있었다.

24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이날 국고채 3년 지표물 금리는 전일보다 1.1bp 상승한 0.965%에 출발했다. 현 기준금리 대비한 스프레드는 46.5bp에 이른다.

국내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여력이 사실상 크지 않은 만큼 통화정책에 민감한 중·단기물은 일부 인상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준금리는 지난 3월 50bp 빅컷 인하로 사상 첫 0%대를 진입한 이후에 추가로 25bp를 내리면서 5월 금통위 이후에 0.5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통상 기준금리 인하가 마무리됐다고 보면 국고 3년물 금리는 다음 스텝을 선반영해 움직인다. 한은이 금리 정상화 과정에서 간격을 두겠지만 인상 횟수가 단 한 번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작용했다.

이 가운데 금통위를 앞두고 한국은행의 고용안정 목표에 대한 스탠스가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시각에 변화를 가져올지도 관심사로 손꼽힌다.

한은이 당장 고용목표를 통화정책에 추가해 운용하기란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르겠지만 저금리 기조를 지속시키는 요인이라는 해석이 뒤따른다.

현재 국회에는 한은법에 고용안정을 추가하는 방안을 담은 개정안이 발의된 상황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당장 고용목표를 명시해도 한은으로서 수단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며 "고용에 대한 압박을 받으면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 연구원은 "최근 호주가 3년 동안 금리 인상이 없다고 밝혔다"며 "그 정도는 아니겠지만 국내도 저금리를 고착화하는 재료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만 통화정책을 향한 시장의 민감도가 낮아 그 영향력은 제한적이라는 반응도 있었다.

증권사의 한 채권 중개인은 "지금은 통화정책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금리 인하기에 나오는 발언이라면 영향이 있겠지만 여파가 크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기준금리(적) 및 국고채 3년물 금리(청) 추이>



ybn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3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