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기업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다며 채권은행들은 옥석을 가리는 작업을 준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1일 '기업신용위험 평가지표의 개선 필요성 및 향후 구조조정 추진과제' 보고서에서 이같이 말했다.

구 선임연구위원은 "기준금리 인하, 금융권의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원금 만기연장·이자 상환유예 등은 기업의 이자비용 부담을 완화해 한계기업 증가를 일부 억제했다"며 "그럼에도 채권은행의 신용위험평가 결과 한계기업 수가 지난 2019년 3천307개에서 지난해 3천508개로 증가한 것은 부실징후기업이 증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한계기업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점을 비추어볼 때 현재 펀더멘털 문제가 있는 기업과 코로나19 영향으로 단기적 유동성 문제가 있는 기업이 혼재됐을 것"이라며 "저금리 기조와 이자상환 유예 등을 고려할 때 이자보상배율이 한계기업을 판별하는 데 적합한 지표인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얘기했다.

그러면서 "향후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나타내는 활동성 지표로서 매출액증가율 관련 지표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적절한 시점 수시평가를 통해 신속하게 옥석 가릴 준비를 해 구조조정 지연으로 미래에 경제적으로 과도한 부담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구 선임연구원은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감소, 중국 등 경쟁국 부상에 따른 국제경쟁력 약화, 4차 산업 관련 신기술 개발 등을 고려하면 향후 사업구조조정에 대한 수요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며 "제2차 기업구조혁신펀드를 활용해 자본시장을 통한 구조조정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를 위해 구조조정채권 거래 활성화가 필요하므로 구조조정채권 매각과 관련한 효율적인 절차 마련,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가격에 대한 이견 해소 장치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