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용갑 기자 = 금융감독원이 보험사의 해외 대체투자 리스크 관리·감독을 강화한다.

금감원은 22일 '보험회사 해외 대체투자 현황 및 향후 감독방향'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보험사 해외 대체투자 규모는 70조4천억원이다. 총자산 1천87조원의 6.5% 수준이다.

총자산은 해외 대체투자가 있는 보험사 36곳의 자산 합계다. 보험사는 주로 직접 투자가 아닌 펀드 매수 등의 간접 방식으로 대체투자를 했다.

대체투자 유형은 부동산 관련 투자 24조1천억원(34.2%), 사회기반시설(SOC) 20조원(28.4%), 기업 인수·구조조정 관련 투자 9조3천억원(13.2%) 등이다.

투자 대상은 오피스 10조9천억원(15.5%), 발전·에너지 8조5천억원(12.1%), 항공기·선박 4조9천억원(7.0%), 사모펀드(PEF) 등 인수금융 4조9천억원 등이다.

투자 지역은 미국 26조8천억원(38.1%), 영국 6조5천억원(9.2%), 프랑스 2조7천억원(3.8%), 기타 유럽 6조8천억원(9.7%) 등이다.

보험사의 신규 대체 투자규모는 2018년 15조5천억원을 기록한 이후 감소하고 있다. 작년 신규 투자 규모는 6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신규 대체투자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투자 잔액의 68.3%는 2030년 이후 만기가 도래한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해외 대체투자는 4조4천억원이다. 이 중 2조원은 부동산 관련 투자다.

이 때문에 임대·매각 여건 악화 시 엑시트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금감원은 지적했다.

지난해 1~9월 보험사 해외 대체투자에 따른 이자·배당수익은 2조원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항공기 투자의 펀드 가치 하락 등으로 일부 자산에서 총 1천944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작년 9월 기준 투자 손실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차주 부도, 공사지연·중단 등 부실 징후가 있는 자산은 2천721억원이다. 해외 대체투자의 0.4% 수준이다.

또 금리인하, 만기연장, 임대료 감액 등 투자조건 조정으로 당초 기대수익 대비 수익성이 악화된 자산은 1조원이다. 해외 대체투자의 1.4% 수준이다.

이에 금감원은 향후 보험사 대체투자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보험사 대체투자 리스크관리 모범규준 마련한다. 대체투자 건전성 평가·점검도 강화한다. 취약회사 집중관리와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체투자 비중이 높고 내부통제가 취약한 보험사의 대체투자 전(全) 건에 대해 매월 건전성 현황과 부실 여부를 살펴볼 것"이라며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대체투자 업무보고서 개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ygk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8시 4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