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시중 유동성이 감소하면서 여신금리 상승이 발생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이강욱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실장은 25일 '시중유동성 증가의 주요 원인과 금리 전망' 보고서에서 "기업과 공공부문의 통화수요 증가는 시중유동성 확대의 제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시중유동성이 증가한 원인은 기업과 공공부문의 잉여재원이 은행의 유동성으로 유입된 덕분이다.

이 실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은 경상수지 흑자 등으로 증가한 재원을 투자에 활용하는 대신 통화 형태로 보유했다"며 "이렇게 늘어난 기업 부문의 유동성이 단기예수금과 은행채 등을 통해 예금 취급 기관으로 유입되면서 가계 여신 확대 재원으로 활용됐다"고 말했다.





은행 여신영업전략이 적극적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형태로 변화한 영향도 있다.

이 실장은 "유럽 재정위기 이후인 2013년부터 은행들의 실질 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2012년 수준의 원화대출금/자기자본 배율을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지난해 약 120조원의 원화대출금이 초과 실행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기업과 공공부문의 자금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 실장은 "최근 대기업들의 공격적인 시설 투자와 인수합병(M&A)이 이루어지고 있어 기업 부문 유동성이 과거 수준으로 은행에 유입되긴 어려울 것"이라며 "공공부문은 한국판 뉴딜정책에 따라 보유 유동성과 채권 발행 등으로 투자재원을 조달해야 해서 시장 유동성을 흡수하게 된다"고 판단했다.

과거와 같은 공격적인 레버리지정책을 이어가기 부담스러운 상황이기도 하다.

이 실장은 "코로나19가 진화되고 향후 금융유예 정책들이 만료되면 수면 아래 있던 부실자산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감독당국이 은행들에 배당자제를 통해 내부 잉여를 확보하라는 것은 향후 있을 여신 증가에 대비하라는 의미가 아닌 부실 발생에 대한 충분한 손실 흡수력을 확보하라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가계 예·적금 가입이 줄고 있는데 기업과 공공부문으로부터의 유동성이 공급될 가능성까지 낮아지면서 은행의 조달상황이 악화한 상황이다.

이 실장은 "예수금이 하락하면 은행들은 여신 재원을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은행채 등으로 조달해야 한다"며 "여신에 대한 가계 수요가 유지되는 가운데 조달 비용이 상승할 경우 여신 금리가 상승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여신금리가 상승하고 추가 유동성 공급량이 줄어들면 기존 채무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높아지면서 대손비용도 증가할 수 있다"며 "대손비용 역시 자금공급 측면의 원가성 비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은행의 여신금리 인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2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