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경기부양책 수정해야"


 

 

 

 


<미국 연방준비제도 연방기금금리 추이>



(서울=연합인포맥스) 서영태 기자 = "호랑이를 우리 안으로 다시 몰아넣는 일이 얼마나 어려울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뉴욕타임스의 스티븐 라트너 칼럼니스트가 5일(현지시간) '많은 똑똑한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는 제목의 글에서 한 말이다.

미 재무부 고문으로도 활동했던 라트너 칼럼니스트는 "수년 동안 (인플레) 공포가 지나쳤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높은 물가가 우리를 괴롭힐 때 이를 멈추기가 얼마나 어려울지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1조9천억달러 규모(한화 약 2천100조원) 부양책을 추가로 실행하기도 전에 인플레 경보가 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건설이 크게 늘어 구리와 목재 가격이 올랐고, 글로벌 철강 수요가 많아져 철광석 가격도 상승했다. 미국 장기물 국채 금리도 연일 오름세다.

또한 라트너 칼럼니스트는 추가 부양책 규모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국내총생산(GDP) 감소분을 훌쩍 넘어선다고 지적했다. 경기가 지나치게 뜨거워질 수 있다는 의미다. 여기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단기 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내리면서 풀어놓은 유동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소비자가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과잉 저축한 수조 달러를 올해 모두 써버릴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러면서 "40년 전 연준은 고통스러운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금리를 20%까지 올려야 했고, 경제는 잔혹한 침체기에 접어들었다"고 경고했다.

과도한 물가 상승을 막을 해결책도 주문했다. 우선 코로나 위기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지 않은 미국인에게도 쥐여주는 현금(총 4천220억 달러)을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이들에게만 지급하라며 부양책 수정을 권했다. 주·지방정부를 지원하는 5천100억 달러도 크게 삭감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부양책 규모를 줄여서 아낀 자금을 인프라에 투자하라고 조언했다. 인프라 투자는 서서히 이뤄지기 때문에 물가가 급등할 위험이 적고, 미국의 생산성 성장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더 나은 곳에 쓰일 수 있는 귀중한 돈을 낭비하는 행태는 또 한 번의 높은 인플레라는 리스크를 감내할 만큼 가치가 있지 않다"고 말했다.

ytseo@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3시 05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